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러시아의 민족 언어 지원 정책 분석 연구: 소련의 민족 언어 평등 정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6 .01
‘효’ 문화를 통해 보는 조선족의 민족정체성
통일인문학
2015 .06
일본 화교·화인의 민족정체성 조사 연구
중국학
2016 .01
조선족 시문학에서의 민족정체성 의식
현대문학의 연구
2015 .06
재일한인의 민족정체성에 관한 연구
로컬리티 인문학
2018 .04
재한 고학력 조선족의 민족정체성 연구 - 연변지역 출신 조선족을 중심으로 -
재외한인연구
2019 .01
Ethnic Resources Reviving: The Case of the Korean Ethnic Economy in Bom Retiro, São Paulo
Korea Journal
2022 .12
재일조선인의 자기정체성 재구축과 민족교육의 공과
아시아문화연구
2018 .08
金庸 무협소설에 나타난 민족관에 관한 고찰
중국학
2021 .12
Shuttles of the Ethnic Borders -Case of the Mixed Identity of Chagubya and Argubya in Vladivostok, Russia-
사이間SAI
2022 .05
日本の公立学校における民族学級の意味 : S小学校の事例を手がかりに
일어일문학
2017 .02
Contentious Politics in the Nascent Formation of Ethnic Communities in Korea
Korea Observer
2017 .09
인종적 정체성의 수용과 확대: 리영 리 초기시의 몸과 음식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영미연구
2018 .01
미시간의 사례를 통하여 본 한국화교의 미국 이주와 정착, 그리고 ‘미국한화(美國韓華)’정체성
한국문화인류학
2015 .01
우리 민족의 전통문화교육을 중시하자
중국조선어문
2017 .05
에스닉 음식(Ethnic food)에서 에스닉 아메리칸 음식(Ethnic American food)으로 — 1850년대에서 1940년대 사이 이민자와 미국의 음식 문화 —
사림
2021 .01
카자흐스탄 고려인의 가족 및 세대 간 관계
인문과학
2016 .01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수민족 교육정책 변천 - 신장위구르자치구를 중심으로 -
대구사학
2024 .09
인종서사와 기억 —토니 모리슨의 『빌러비드』
영어영문학21
2015 .01
홍암 나철의 죽음에 함의된 의미 고찰
신학과 사회
2022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