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김소월 「산유화」에 나타나는 「춘망사」의 영향
춘원연구학보
2024 .12
17세기 이전 금강산 유람의 경로 및 특징
南冥學硏究
2017 .01
朝鮮前期 智異山 遊記 발생에 관한 短見
漢文學報
2021 .12
木齋 洪汝河 금강산 유람기의 표현양상과 의식지향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24 .09
是菴 李直鉉 문학 연구
동방한문학
2019 .01
한국 명산문화 연구의 모델 설계와 방법 수립을 위한 試論
南冥學硏究
2022 .09
Resilience Thinking in Traditional Knowledge about Urban and Rural Landscape of Korea
문학과환경
2015 .06
지리산인문학의 인문지리학 연구 성과와 전망
남도문화연구
2016 .12
옥소 권섭의 「遊行錄」에 나타난 대상체험의 양상과 유람의 의미
영남학
2021 .12
1932년 통도사 김구하(金九河)의 금강산 여행 - 금강산관상록(金剛山觀賞錄)을 중심으로 -
대각사상
2022 .06
지역 주체형 관광 진흥으로서의 착지형(着地型)관광 연구–‘온파쿠(別府八湯温泉泊覧会)’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2016 .01
금강산의 여성 유객(遊客) : 고려시대부터 20세기 초까지
동악어문학
2023 .02
전남〈산악전설〉의 존재양상과 지역적 정체성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3 .03
Fengshui in Korea: Belief Based on Experience
동방문화와 사상
2019 .01
遊記를 통해 본 端磎 金麟燮의 삶의 단면들
동양한문학연구
2023 .06
일제강점기 일간지 시대의 개막과 금강산 -1920년대 <동아일보>,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2022 .12
지리산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의 성과를 중심으로
남도문화연구
2016 .12
巨鼇戴山에서 鼇山까지 ― 실크로드 관점에서 본 神山 조형물의 東漸과 그 결과
중국문학
2023 .02
중국의 ‘창바이산문화론’과 백두산 전유화(專有化)
동북아역사논총
2022 .12
한국의 古代 ‘神山 世界’ 圖像 연구(下) – 三國時代까지, 氣 표현 중심으로 –
한국사상과 문화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