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I . 머리말
II . ‘지린성 창바이산문화연구회’ 조직과 『중국장백산문화(中國長白山文化)』 발간
III . ‘창바이산문화론’의 구성과 백두산 전유화(專有化)
IV .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의 ‘백두산공정’과 대응
동북아역사논총
2022 .06
제14차 5개년 계획 시기 중국의 백두산 연구와 개발의 새로운 추세
동북아역사논총
2024 .12
王綿厚의 ‘長白山區系’論과 중국 長白山文化論의 현단계 -王綿厚의『長白山區系考古與民族要論』(遼寧人民出版社,2022)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2023 .08
중국에서의 ‘滿洲(長白山) 主人論’의 表象化 작업과 의미
중국사연구
2019 .01
중국의 ‘백두산공정’ : ‘長白山文化建設工程’에 관한 試論
중국근현대사연구
2018 .06
중국의 백두산 관광정책과 뉴패러다임
동북아역사논총
2024 .06
중국의 ‘백두산의 중국화’ 전략
동북아역사논총
2015 .06
김소월 「산유화」에 나타나는 「춘망사」의 영향
춘원연구학보
2024 .12
언어경관 ‘백두산/장백산’의 사용 양상과 사회적 요인과의 상관성 : 시각/음성 경관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17 .12
朝鮮前期 智異山 遊記 발생에 관한 短見
漢文學報
2021 .12
『滿洲源流考』 山川편에 대한 고찰
선사와 고대
2018 .01
한국 명산문화 연구의 모델 설계와 방법 수립을 위한 試論
南冥學硏究
2022 .09
是菴 李直鉉 문학 연구
동방한문학
2019 .01
지리산인문학의 인문지리학 연구 성과와 전망
남도문화연구
2016 .12
Resilience Thinking in Traditional Knowledge about Urban and Rural Landscape of Korea
문학과환경
2015 .06
경로를 통한 금강산 유람의 변천고찰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그림책 백두산 이야기의 출간 의의 고찰
동화와 번역
2019 .01
근현대 한중변경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시각과 비판:『백도백과』 『동북사지』 『중국변강사지연구』 내용 병론
중국사연구
2022 .02
전남〈산악전설〉의 존재양상과 지역적 정체성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3 .03
성경 상봉각의 만문장백산도에 대한 고증 -강희 『황여전람도』와의 관계-
중국근현대사연구
2024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