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80년 만의 부평미군기지 반환
반환 이후의 과제들
45년 만에 돌아오는 인천 내항 재생도 함께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대중음악 중심 장소로서 부평 연구
기전문화연구
2020 .01
지역사회와 미군기지 : 평택을 중심으로
황해문화
2020 .06
군사도시의 지역사회관계 형성 ― 주한미군의 근린 정책과 ‘기지생활권’을 중심으로 (1957~1971년)
도시연구
2022 .03
미군기지의 안과 밖: 모호한‘집(home)’의 수사를 통한 경계 만들기
역사문화연구
2020 .01
필리핀 미군기지의 어제와 오늘
황해문화
2020 .06
주한미군과 주둔지 주변 지역사회의 관계 (1964~1973년) : 미군 대상 지역사회관계 프로그램 운용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2019 .03
근대이행기 부평도호부 읍치의 도로망 특성과 변천
기전문화연구
2019 .01
한국전쟁기 인천의 미군기지와 전쟁포로수용소
황해문화
2016 .12
한국전쟁기 인천의 미군기지와 전쟁포로수용소
황해문화
2016 .12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과 주한미군 ‘공간적 권한’의 확장
역사문화연구
2021 .11
미군기지 유휴공간의 문화재생 사례 연구 : 캠프 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17 .09
지역 운영의 군사개입과 ‘예외 공간’의 형성(1957~1971년) - 주한미군의 ‘지역사회관계 자문위원회’ 조직과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2 .09
옛 한시(漢詩)에 나타난 ‘부평과 계양’의 풍경
기전문화연구
2016 .12
[교사의 선생님] 당신, 거기 있다면 내 이야기 좀 들어 주실래요? : 부평서여자중학교 3학년 담임 선생님을 기억하는 기록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4 .07
주한미군기지 인접 지역 내 미군경찰의 활동과 의미 (1954~1970년)
사림
2020 .01
군수산업복합기지로서 인천육군조병창의 특징과 한국전쟁기의 전략적 위상
기전문화연구
2022 .12
부평 삼릉(三稜)과 신촌(新村)이 우리나라 대중음악사에 끼친 영향
기전문화연구
2022 .12
한국 현대시의 미적 변동에 대한 탐구 : 엄경희, 『현대시와 추의 미학』(보고사, 2018)가 던진 과제
한국문학과 예술
2018 .12
포스트 냉전 시대 미국의 세계전략과 미군
황해문화
2020 .06
주걸륜(周傑倫)의 “你可以不平凡” 강연 텍스트의 수사학적 분석
중국문화연구
2015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