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방위비 분담금 6조 원: 공평하고 공정한 동맹의 징표?
SOFA체제 탄생의 기원: 미군 범죄와 전장의 동맹
방위비 분담의 제도적 근거로서 SOFA체제
SOFA체제를 넘어서는 두 가지 방법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주한미군과 주둔지 주변 지역사회의 관계 (1964~1973년) : 미군 대상 지역사회관계 프로그램 운용을 중심으로
사학연구
2019 .03
한미동맹과 주한미군의 딜레마, 어떻게 풀어야 할까?
황해문화
2020 .06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과 주한미군 ‘공간적 권한’의 확장
역사문화연구
2021 .11
한반도 중립국 통일론과 주한미군
황해문화
2018 .09
박정희 군사정부의 한미 주둔군지위협정(SOFA) 교섭 초기 논쟁과 의제 : ‘정상적 정부’ 표현과 교섭 의제 선정
역사와현실
2025 .03
군사도시의 지역사회관계 형성 ― 주한미군의 근린 정책과 ‘기지생활권’을 중심으로 (1957~1971년)
도시연구
2022 .03
미군기지의 안과 밖: 모호한‘집(home)’의 수사를 통한 경계 만들기
역사문화연구
2020 .01
여순사건 관련 미국 자료 수집 현황과 과제 - 주한미군사고문단 자료를 중심으로
탐라문화
2023 .03
지역 운영의 군사개입과 ‘예외 공간’의 형성(1957~1971년) - 주한미군의 ‘지역사회관계 자문위원회’ 조직과 활동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2 .09
포스트 냉전 시대 미국의 세계전략과 미군
황해문화
2020 .06
지역사회와 미군기지 : 평택을 중심으로
황해문화
2020 .06
주한미군기지 인접 지역 내 미군경찰의 활동과 의미 (1954~1970년)
사림
2020 .01
해방기 주한미군사령부 공보원 지역분관의설립과 문화 활동
석당논총
2020 .01
미군의 대한원조 영상 속에서 재건되는 전후 주체: The Big Picture 시리즈의 ‘미군대한원조’와 ‘한국과 당신’을 중심으로
역사연구
2021 .05
오시로 다쓰히로 문학에서 ‘미군’이 내포하는 의미 : 오키나와 · 미국 · 일본 본토와의 관련성을 시야에 넣어
일본연구
2015 .08
주한미군의 한국인 고용자 동원과 정책의 균열 (1954~1966년)
한국사연구
2021 .12
韓國戰爭 停戰 以後, 中國人民志願軍 撤軍問題를 둘러싼 北ㆍ中의 異見과 軋轢
중국근현대사연구
2017 .09
[지역] 부평미군기지의 반환, 이후의 과제
황해문화
2020 .03
왜 미군 위안부는 잊혀져야 했는가? – 기지촌의 로컬리티와 기억의 정치
로컬리티 인문학
2021 .04
필리핀 미군기지의 어제와 오늘
황해문화
2020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