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머리말
1. 고종과 김홍집 내각과의 관계
2. 김홍집 살해사건의 전말과 보도
3. 『한성신보』의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성신보』의 한국 정치 및 사회에 대한 인식
역사와현실
2016 .12
매일신보를 통해 본 3․1의 정치와 ‘균(菌)’, ‘음(音)’, ‘문(文)’의 상상력
구보학보
2019 .01
『한성신보(漢城新報)』의 의병보도와 그 특징(1895~1896)
역사와현실
2020 .06
『한성신보』의 흥선대원군에 대한 인식과 평가
한국사학보
2020 .11
중국 근대 신문에 발표된 한국 한시와 그 의미
영남학
2017 .01
2021~2023년 백제 한성・웅진기 문헌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백제학보
2024 .05
3⋅1운동 100주년, 역사전쟁과 고종 독시(毒弑)
담론201
2019 .01
『한성신보』의 조선 사회에 대한 인식 –斷髮令(1895)과 관련하여-
사학연구
2020 .03
1950년대 '제주신보' ‘독자의 소리’ 지면 특성 및 기능에 관한 연구
탐라문화
2019 .01
단원 김홍도 화제(畫題)의 서체와 낙관인
한국사상과 문화
2019 .01
中西部地域 原三國~漢城期 百濟 시루의 地域特性 硏究
백제연구
2017 .01
신라 진흥왕 순수비의 漢城과 北漢山州 壯義寺의 창건
신라사학보
2023 .04
갑오개혁 이후 관리등용방식의 변화와 관리 채용의 실태 : 외무부서를 중심으로
역사연구
2023 .01
‘조러밀약(朝露密約)’을 통한 고종의 대러관계 강화 시도와 의미 - 고종의 보호국 인식을 중심으로
역사와현실
2022 .12
신동집의 중기 이후 작품에 나타난 존재론적 사유 고찰 - 신동집의 문학사 내 (재)기입을 위한 시론
한국시학연구
2024 .08
김종한 『설백집』 연구: 번역과 일제말기 조선문학의 혼종성
세계문학비교연구
2015 .01
고종 연간(1863~1907) 제작 어보(御寶) 연구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1 .09
조선 고종 <북묘묘정비(北廟廟庭碑)>에 나타난 보수적 의식구조, 관우에 관한 꿈 그리고 자존심
중국어문논총
2019 .01
1804년(순조 4) 永明尉 洪顯周의 부마 간택과 그 의미
온지논총
2024 .04
전시체제기 매일신보 연재소설 연구-매체 전략과 문화적 선전․동원 기능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