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女性嫌惡’의 文學文化史(Ⅲ) - 1900년대 文學文化의 ‘호모소셜리티’와 女性嫌惡 -
어문연구(語文硏究)
2017 .01
한국 교회, 여성혐오를 넘어서다
한국여성신학
2016 .08
「점잖음」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연구: 실재와 현상의 불일치를 중심으로
영미문화
2017 .01
18세기 국문장편소설의 애정 서사를 읽는 재미 - 처처갈등담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2019 .01
한국 구술서사와 ‘여성혐오’ - 구술서사에 나타난 '여성혐오(misogyny)’의 논리와 서사 전략 분석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18 .01
아내 : ‘천사’와 ‘여편네’ 그리고 ‘사랑’의 의미 : 김수영과 김춘수의 시에 나타난 ‘아내’의 거리
우리문학연구
2019 .04
목회자 사모의 직장생활 경험
신앙과 학문
2018 .01
『萬國婦人』의 실패 요인과 젠더 양상
한국문예창작
2021 .01
탈식민기 가족법에서 민주주의 의제와 여성의 국민화 - ‘처의 행위능력’을 중심으로 -
사림
2016 .01
박탈된 존재의 “인공의 날개”— 「날개」의 상승 구도와 가치 전도 —
현대문학이론연구
2020 .01
불안한 주체의 시선과 글쓰기: 1930년대 남성작가의 아내표제소설 읽기
여성문학연구
2016 .01
롯의 아내는 왜 소금 기둥이 되어야 했는가? : 창 19:26의 롯의 아내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신학논단
2018 .03
목회자 사모의 심리적 어려움 극복을 위한 집단상담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연세상담코칭연구
2020 .03
1980년대 시에 나타난 미소지니(misogyny) 양상 연구 : 누이, 아내, 어머니 재현 양상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2019 .10
1920년대 미소지니와 미소지니스트의 소설적 재현 -염상섭의 「너희들은 무엇을 어덧느냐」를 중심으로-
어문학
2024 .09
그 해는 여성혐오가 시대정신이었다?! : 임옥희, 『젠더 감정 정치』, 도서출판 여이연, 2016
여성문학연구
2016 .01
마이너리티로의 변전과 그녀들의 한국전쟁-장혁주 소설에 나타난 ‘일본인 처(妻)’의 재현을 중심으로-
사이間SAI
2022 .11
‘일본인 처’라는 기호 : 남북일 국민 서사에서의 비/가시화와 이동의 현재성
동악어문학
2022 .06
은희경 소설 <아내의 상자>의 구조 분석
동남어문논집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