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재한 ‘일본인 처’의 이례성과 타자성
3. 재일조선인 ‘일본인 처’의 교차하는 정체성
4. 결론
Abstract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마이너리티로의 변전과 그녀들의 한국전쟁-장혁주 소설에 나타난 ‘일본인 처(妻)’의 재현을 중심으로-
사이間SAI
2022 .11
냉전기 재일조선인들의 ‘동서’ 횡단 이동과 인권 담론
역사비평
2023 .05
누가 조국을 두 개로 나누었는가 - 남북일의 영화 〈박치기!〉
아시아문화연구
2021 .04
경계로서의 ‘해양’에 대한 일고찰 : 재일조선인의 시선을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7 .11
18세기 국문장편소설의 애정 서사를 읽는 재미 - 처처갈등담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2019 .01
冷戦とジェンダーが交差する場, 北に渡った「日本人妻」に向けられるまなざし ― 島田陽磨監督『ちょっと北朝鮮まで行ってくるけん。』を中心として ―
일본학보
2024 .05
한국 고등학교 일본어학습자의 대일(對日) 인식
일본어문학
2023 .02
재일조선인 귀국(歸國)문제를 기억하는 문화적 방식 : 북한의 경우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6 .12
김달수의 단편소설에 나타난 민족주의 고찰 : 『사간동 57번지』와『참외와 황제』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7 .05
1960년대 중반~1970년대 초, 서울 소재 일본인 유골 송환
역사비평
2021 .11
한국 대학생의 한일관계개선의 결정요인 ― 경남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日本語敎育
2021 .01
해방직후 남한 거주 일본인의 귀환양상과 재산처리 과정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2021 .01
일본문화교육 전후 일본이해도 차이 연구 ― 경남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日本語敎育
2021 .09
재한일본인처의 한국어를 기반으로 한 코드스위칭의 실태
일본연구
2017 .02
韓国大学生が関心を持つ日本の「文化」
日本語敎育
2019 .01
1900년대 초 재조일본인 사회의 변화와 명사록 출판
이화사학연구
2017 .01
아내 : ‘천사’와 ‘여편네’ 그리고 ‘사랑’의 의미 : 김수영과 김춘수의 시에 나타난 ‘아내’의 거리
우리문학연구
2019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