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개념과 유형 : 캐릭터, 스토리텔링, 담론
외국문학연구
2016 .05
분쟁의 심층, 정체성 갈등과 평화다원주의의 길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3
지역주의와 정체성의 정치
인문사회과학연구
2018 .01
기독교인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자기항상성, 자율성, 자존감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2018 .02
대만의 선진국 담론 활용 전략과 한 · 중 · 일 인식(2007-2017)
중국근현대사연구
2018 .09
브렉시트 이후 다민족국가로서의 영국의 지속가능성: 영국인의 ‘민족정체성’과 ‘국가정체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신학과 학문
2021 .08
탈근대사회 유연한 정체성에 대한 고찰:재한 화교를 중심으로
재외한인연구
2020 .01
대학생의 정체성 위기와 자아정체성 탐색을 위한 글쓰기 ― ‘나 이해하기’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
2019 .01
The Construction of Teacher Identity: A Narrative Inquiry of a Korean English Teacher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17 .01
가족과 열린공동체 : 다문화가족 정체성을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2015 .04
허련순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정체성의 변화- <바람꽃>,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 <중국색시>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2015 .01
다중정체성을 통한 트랜스아이덴티티의 확장 : 영화 <홀리 모터스>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2016 .11
소설 속 공간 재구성과 이주자의 정체성 ― 於梨華의 소설 『又見棕櫚又見棕櫚』를 중심으로
중국학
2017 .01
독일 정치교육의 과제로서 이주와 난민: 애국주의와 새로운 정체성 정치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24 .02
가치관을 통해 본 한국인의 문화적 정체성: 유교와 무교를 중심으로
신학과 사회
2020 .01
전경린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정체성 형성 과정 고찰
현대문학이론연구
2016 .01
Portrayal of civic and political identity of ethnic Koreans in the media:The Washington Post 1990-2010
사회과학연구
2015 .01
사회통합을 지향하는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레티 러셀(Letty M. Russell)의 성찰과 타자성을 중심으로
선교와 신학
2017 .10
Identities, Self-determination, and the Deferral of Demian’s Dream: A Centennial Perspective on the World in 1919
인문사회과학연구
2019 .01
국어교육에서의 언어 정체성 교육 연구 : 자기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2021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