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들뢰즈와 과타리의 배치 개념 : 카프카론을 중심으로
현상학과 현대철학
2024 .09
들뢰즈 마르크스주의는 가능한가?
철학연구
2019 .08
시적 체험을 위한 ‘신체’ 개념의 이론적 고찰
어문논총
2020 .08
들뢰즈에서 정동의 논리와 공명의 잠재력
시대와 철학
2015 .12
정원 짓는 새: 들뢰즈와 과타리의 예술론과 동물행동학
美學(미학)
2024 .03
‘의미’의 발생 체계에 관한 연구(Ⅱ) - 들뢰즈의 『의미의 논리』 후반부를 중심으로 -
철학연구
2021 .11
들뢰즈에게서 ‘선험적인 것’의 의미 : 베르그손 독해에서 ‘경험의 실재적 조건’에 관한 고찰로부터
철학
2018 .11
Le nouage événementiel entre le corps sans organes chez Deleuze et Guattari et le corps jouissif chez Lacan
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
2017 .08
‘앙가주망’에서 ‘소수문학’으로* - 사르트르, 들뢰즈 · 가타리의 문학 사용법
세계문학비교연구
2016 .01
정신분열시대의 소통과 무의식 -들뢰즈와 가타리의 정신분열분석을 중심으로-
철학∙사상∙문화
2024 .06
들뢰즈의 이념이론에서 잠재성에 관한 고찰
인문학연구
2022 .05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 』에 관한 연구 : ‘형상’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7 .02
들뢰즈/가타리의 무의식론에 관한 종교철학적 이해 - 『안티 오이디푸스』의 다양체로서의 무의식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2017 .01
들뢰즈의 ‘생성’ 개념과 교육에서의 심미적 체험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8
Deleuze in the Age of the Theological Turn
비평과이론
2017 .01
베르그손과 들뢰즈, 경험론의 이름으로 상관주의를 넘어서는 두 논리-베르그손의 전체적 경험(l’expérience intégrale)과 들뢰즈의 선험적 경험론(l’empirisme transcendantal)-
인문과학
2018 .01
베르그손, 차이의 철학자인가 반복의 철학자인가 - 들뢰즈의 초기 저술들에서의 독해를 중심으로 -
철학
2024 .11
들뢰즈의 차이의 철학 - 강도량의 중심으로
동서정신과학
2022 .05
다양체 개념의 변환 - 리만에서 들뢰즈로 -
시대와 철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