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기독교교육학회 기독교교육 논총 기독교교육 논총 제46호
발행연도
2016.1
수록면
287 - 317 (3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그 동안 "게슈탈트 교육(gestalt education)"은 일반 교육학에서나 기독교 교육학에서 간간히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이것이 강의법이나 토의법과 같이 정형화된 하나의 교수-학습법으로 만들어져 있지는 않은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논문은 게슈탈트 교육을 정형화된 하나의 교수-학습법으로 만들려는 의도를 가지고 시도하는 사전 작업이다. 어떤 교수-학습법이 정형화 되면 그 구조 안에는 일반적으로 그 교수-학습법의 취지나 전제, 방법, 전개, 교사의 역할, 학습자의 위상, 평가 같은 것들이 포함된다. 그것은 게슈탈트 교육의 정형화 작업에서도 동일하게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하는 논의는 게슈탈트 교육을 정형화하는 작업 자체가 아니라 게슈탈트 교육을 하나의 체계로 수립하기 전에 해야 할 게슈탈트 교육의 기본 성격 규명을 위한 것이다. 이 논의를 위한 구체적인 자료로는 무어(M. E. Moore)의 저서, Teaching from the Heart: Theology and Educational Method에 나오는 게슈탈트 방법에 대한 이야기와 팔머(P. J. Palmer)의 저서, To Know As We Are Known: A Spirituality of Education에 나오는 교육의 영성에 대한 이야기가 중심이 된다. 여기서 규명하려는 게슈탈트 교육의 기본 성격은 세 가지로, 게슈탈트 교육에 있어서의 "학습의 개방성", "학습 과정에 있어서의 학습자 주도성", 그리고 "부대 학습의 효과"이다. 이 논의는 먼저 무어의 저서에서 추출할 수 있는 게슈탈트 교육의 특성들을 설명한 후에 이 특성들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야기들을 팔머의 저서에서 발췌하여 그것으로 무어의 이야기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것이다. 사실 게슈탈트 교육을 두고 무어와 팔머 사이에 이루어진 대화는 없다. 그러나 팔머의 이야기가 무어가 말하는 게슈탈트 교육의 성격을 더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인식이요 출발점이다. 따라서 이 논의는 게슈탈트 교육에 대한 그 두 학자의 견해를 소개하거나 둘 사이에 대화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다만 무어가 말하는 게슈탈트 교육의 성격을 설명하면서 팔머의 이야기, 혹은 그 행간의 이야기를 유추하여 무어가 말하는 게슈탈트 교육의 성격을 더 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 마디로 이 논의는 이후에 독자적으로 게슈탈트 교육을 정형화된 하나의 구조로 만들 때 필요한 게슈탈트 교육의 성격 규명을 보다 분명히 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