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Ⅰ. 여는 말
Ⅱ. 왕양명의 생명세계관과 게슈탈트 치료의 유기체관
Ⅲ. 어린아이의 마음
Ⅳ. 치유로서의 놀이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왕양명철학에서 몸의 의미
양명학
2017 .08
우리 안의 ‘아이’라는 자원 - ‘동심’과 ‘내면아이’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
양명학
2020 .06
파머(Palmer)의 ‘교육의 영성’ 사상을 통한 무어(Moore)의 게슈탈트 교육의 확대 이해
기독교교육 논총
2016 .01
왕양명 교육 철학사상과 도가 철학사상의 관계 연구
문화와 예술연구
2020 .01
왕양명의 심학(心學)과 공감
유학연구
2019 .01
유기체적 지성과 치유 - 왕양명의 만물일체관을 중심으로 -
양명학
2020 .12
지성중심의 사고를 넘어선 철학상담의 가능성 모색- 왕양명과 베르그손 사상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동서철학연구
2017 .01
아이들의 마음에서 자라지 못한 것들
창비어린이
2021 .06
무어(M. Elizabeth Moore)의 게슈탈트 교육(Gestalt Education)의 구조적 성격과 그 교육학적 함의
신학논단
2016 .09
莊子의 ‘道’와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게슈탈트Gestalt’
동양철학연구
2015 .01
MZ 세대에게 유학은 탈윤리의 시대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 니체, 베르그손과 짐멜을 넘어 왕양명의 사상을 중심으로 -
한국학논집
2022 .12
한국사회의 갈등 해결을 위한 왕양명 철학의 고통 감정 이해와 공감교육 방법 모색
양명학
2022 .06
백암 박은식 사상의 양명학적 특징과 도덕교육적 함의 : 『왕양명선생실기(王陽明先生實記)』를 중심으로
퇴계학논집
2018 .01
아이에게 말을 걸어보세요
제3시대
2016 .06
한 아이가 났다
제3시대
2017 .02
바로 그 아이
창비어린이
2016 .06
아이들을 노엽게 하지 말라
제3시대
2016 .12
아이들은 놀면서 자란다
수필미학
2015 .09
자라지 않는 아이
계간 미스터리
2021 .12
왕양명 지행합일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지행합일의 정당화 논리를 중심으로 -
율곡학연구
2024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