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교사교육연구 제56권 제3호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292 - 308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최근 새롭게 부각되는 ‘인성교육’을 문학교육 차원에서 실현하기 위해 모색한 결과이다. 우선본고는 2015년 7월 통과되어 시행되기로 한 인성교육진흥법에 내포된 인성 개념에 문제를 제기한다. 인성교육은 실천으로 완성되어야 하는 성격을 지니는데, 단순히 기계적인 강요가 아닌 진정한 내면의 변화로 실천을 꾀하려면 인간성과 인간의 가능성에 대한 긍정에서출발해야 함이 옳다. 그런데 인성을 ‘기르는 것’, 즉‘함양하는 것’으로 표현하는 것은 인성교육을 주입식교육으로 만들어, 결국 학습자를 수동적 대상으로 여기게 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성리학을 통해 인성의 참 의미를 제대로 가르칠 수 있는 교육 내용의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교육에 있어우리 고유 사상의 맥을 잇는 뜻깊은 의미를 가지면서, 가장 우리다운 인성교육의 상(想)을 정립해가는 의의를가질 것이라 본다. 인성교육이 시대적 유행이나 과제가 아니라 보편타당한목적이라면, ‘인성’의 개념은 함양이 아닌, 발현하거나 회복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 유학과 성리학의 인간관은 이러한 점에서 우리시대에 필요한 인성교육의 ‘인성’ 개념에 설득력과 구체성을 부여해 준다. 성리학의 이론적 기초라 할 수 있는데 주렴계의 『태극도설(太極 圖)』과 맹자의 『사단(四端)』, 이에 대한 주자의 해설, 퇴계이황의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에 대한 해설을 중심으로 오늘날에 필요한 인성교육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이들 내용을 통해 인간이라면 누구나 빼어난 우주의 이치(理)인 인성을 가진다는 것과, 만물을 다 한 가족으로 여기며자신과 관계된 것에만 매달리는 사사로움을 경계해야 함을 가르쳐 준다. 또한 사람이 가진 기질의 치우침이 본래의인성을 가리고 악으로 흐르게 할 가능성을 가지므로, 꾸준한 실천을 통해 타고난 인성을 보존하려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인성교육과 문학교육의 성공적인 결합을 통해 학습자들은 인성의 개념과 구성요소, 올바른 발현 방법을 좀 더 쉽고 친숙하게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고소설 『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을 선정하여 교육내용과 활용방안을 구성해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시각과는 다른 인물 유형 설정 방법을 창조하여, 인성의 개념 이해와 작품이해를 돕는 방법을 구안하였다. 『창선감의록』에서는 타고난 인성을 잘 발현하는 인물인 ‘화진’과, 질투와 욕심 등의 칠정(七情)으로 인해 인성이 가려졌다가 다시 회복하는인물인 ‘화춘’이 대비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 시각과 다른소설 속 인물 유형을 설정하여, 이들을 각각, ‘인성의 발현’, ‘인성의 회복’유형에 속하는 인물로 보았다. 인성의 발현과 회복에 미친 두 인물의 긴밀한 상호작용은, 절대적 선과 악은 없으므로 인성의 발현과 회복을 위하여 노력하는삶이 중요함을 말해 준다. 또한 화진⋅화춘의 교차되는 흥망은, 조정의 충신과 간신인 남표⋅엄숭의 흥망과 대응되면서 나란히 진행된다. 이는 올바른 인성의 발현이 천지의이치와 함께 하며, 따라서 개인의 노력을 통해 이상적인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음을 알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인성의 발현과 회복을 바탕으로 개인이나아가야 할 삶의 방향을 고찰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를인성교육에 적극 활용한다면 전통문화의 계승, 고전문학교육의 활성화 등의 교육적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고전문학과 고소설의 교육 내용 구성을 고민하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이고 유용한 지침이 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3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