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기억의 정치, 망각의 무의식
Ⅱ. 망각에 저항하는 기록의 투쟁
Ⅲ. 집합적 기억과 갈등하는 개인의 기억
Ⅳ. 분열하는 주체와 기억의 성찰성
Ⅴ. 문화적 기억의 윤리성을 위하여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탈북청소년 구술에 나타난 엄마의 해체와 자기치유적 말하기
문학치료연구
2017 .07
“I Have No Mother”: Erasing Mother in As I Lay Dying
신영어영문학
2016 .02
어머니 부재가 딸에게 끼친 영향: 구약의 딸에 대한 어머니 역할 연구
구약논단
2023 .06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3∼5세의 자녀를 둔 어머니와 자녀의 특성, 상황적 요인이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2021 .01
‘엄마(를 부탁해)’에 이르는 길 : 한국현대소설 속의 어머니 표상과 잠재성 ; 한국현대소설의 계보학 Ⅱ
돈암어문학
2016 .12
중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영어교육에 관한 인식: 경기지역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중심으로
영어영문학연구
2017 .01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해결중심사고와 사회적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2021 .01
Experiences of Christian Mothers at Home with School-Aged Children During COVID-19 in Korea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2021 .04
양육미혼모의 자녀 양육 자신감 향상과 양육태도 개선을 위한 문학치료 사례연구
문학치료연구
2021 .01
워즈워스 시에 나타난 모성애와 공감적 상상력 : 「가시나무」, 「백치소년」, 「선원의 어머니」, 「미친 어머니」를 중심으로
새한영어영문학
2015 .11
“모계사회”의 한 초상, 「엄마와 딸」(“Mother and Daughter”): 엄마와의 결혼, 혹은 아버지의 복수
D. H. 로렌스 연구
2018 .01
이청준의 서사적 정체성 : <눈길>론
현대소설연구
2015 .12
김정은 시대 북한시에 나타난 ‘어머니’의 이미지 - 『조선문학』(2012-2019)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21 .04
탈북여성의 초국가적 어머니 경험
다문화와 평화
2015 .01
피 흘리는 뱀파이어(와) 어머니의 몸: 르 파누의 「카밀라」에서 재현되는 아브젝트로서 어머니의 몸
인문논총
2022 .11
미혼모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입양에서 양육을 재결정한 양육모를 중심으로
신학과 목회
2016 .11
1980년대 민주화운동에서 재현되는‘투사/열사의 어머니’로서의 정치학과 아포리아- 김영현의 「엄마의 발톱」(1989), 박완서의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1993)을 중심으로 -
영주어문
2024 .02
『가게로닛키』의 부모와 자식(2) : 어머니로서의 미치쓰나노하하
일어일문학
2016 .02
후기-근대 “전문엄마”의 자리에서 읽는 크리스테바의 “아브젝트” 모성
신학과 사회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