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Ⅰ. 들어가며
Ⅱ. 역사적 관점에서 본 과학, 과학자, 종교
Ⅲ. 과학의 에토스와 현대사회
Ⅳ. 과학과 종교, 사실과 가치의 대화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종교와 과학 담론의 문명사적 함의 : 화이트헤드의 종교와 과학을 중심으로
신학논단
2017 .03
Science and Politics, Ethics of Scientist
윤리연구
2017 .01
중국 ‘과학구국’ 사상과 현대 과학 이념 발전 연구
중국학논총
2019 .01
과학과 종교: 몇몇 모델에 대한 반성과 제안
창조론오픈포럼
2021 .03
북한문학에 나타난 북한 과학기술의 표상 연구
어문론총
2021 .09
미신 개념의 계보학: 20세기 초 한국 사회의 종교, 과학, 미신
종교문화비평
2020 .01
현대의 과학 시대에서도 신앙은 과연 의미가 있는가? : 과학주의에 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한 신앙의 의미 탐색
신학전망
2019 .03
파울 카루스의 ‘과학종교’ 연구 : 19세기에 나타난 “종교의 과학화”
신학연구
2015 .12
종교와 과학의 거울로서의 생태문명 : 생태문명의 전환을 향한 종교와 과학의 대화
신학연구
2018 .12
Looking for the Evidence of “Self-Evident Truth” : Creation Scientists’ Research and Identity Examined through the Methuselah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8 .08
The Creation Science Movement in Korea : A Perspective from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8 .08
Dialogue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 Toward Ecological Civilization
신학연구
2018 .12
생태문명의 전환을 위한 종교와 과학의 대화
신학연구
2018 .12
인간의 얼굴을 한 과학 : 토마스 쿤이 해리 프랑크푸르트를 만날 때
철학사상
2018 .11
기술화된 과학의 물질성
철학연구
2015 .12
한국 근현대 과학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 과학’에서 ‘과학 한국’까지
한국과학사학회지
2020 .01
과학 소설과 융합 교육
구보학보
2017 .06
종교의 기원에 관한 과학적 연구 - 마이클 아빕과 매리 헤세, 월터 버커트, 어거스틴 푸엔테스의 기포드 강연들을 중심으로
대학과 선교
2021 .01
한국 서양과학사 연구와 교육, 그 관계 맺기의 정체성: 『한국과학사학회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2020 .01
기초 과학과 기초 연구의 사이에서: 기초 과학 육성 정책과 기초과학연구진흥법의 등장
한국과학사학회지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