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용덕 (고려대)
저널정보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철학논총 제95집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43 - 68 (26page)
DOI
10.20433/jnkpa.2019.01.95.4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신 존재증명의 다양한 분류 가운데 목적론적 논증이 가지는 위치는 특별하다. 보통 그것은 생물학, 물리학과 연관되어 경쟁하며 과학적 비판을 받는 유일한 논증방식인데 그 이유는 우리의 경험적 직관에 가장 부합하는 논증방식이기 때문일 것이다. 목적론적 논증의 핵심 추론방식인 유비는 그 본래적 한계성으로 인해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는 목적론적 논증의 유비적 추론의 바탕이 되는 복잡성과 합목적성 등과 같은 개념에 대한 정의가 모호성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 필자는 귀류법을 이용한 새로운 목적론적 논증을 제시하고자 한다. 새로운 논증은 유비 논증이 아니며 복잡성과 합목적성에 대한 개념에 전혀 의존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전의 논증들과 궤를 달리하게 될 것이다. 본 논증은 ‘목적인’의 실재성에 대한 매우 주관적인 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을 바탕으로 논의를 시작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목적인’을 품고 있는 나의 존재가 온전히 물리-화학적으로(질료적으로) 환원될 수 있다는 명제는 거짓이다.

목차

[한글 요약]
Ⅰ. 서론
Ⅱ. 목적론적 논증과 한계 : 페일리의 논증
Ⅲ.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인론
Ⅳ. 실증주의(Le positivisme)
Ⅴ. 새로운 논증의 예비적 고찰
Ⅵ. 새로운 목적론적 논증
Ⅶ. 반론과 검증
Ⅷ. 논증의 의미
Ⅸ.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