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논문요지
Ⅰ. 들어가며
Ⅱ. 재판청구권의 적용 여부
Ⅲ. 법원으로의 접근 가능성과 조정 및 중재
Ⅳ. 법관에 의하여 재판받을 권리와 조정 및 중재
Ⅴ. 법률에 의하여 재판받을 권리와 조정 및 중재
Ⅵ.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0. 6. 24. 선고 2007다73918 판결
[1] 중재법 제32조 제2항은 “중재판정에는 그 판정의 근거가 되는 이유를 기재하여야 한다. 다만, 당사자 간에 합의가 있거나 제31조의 규정에 의한 화해 중재판정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36조 제2항 제1호 (라)목은 중재판정을 취소할 수 있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2. 10. 31. 선고 2001헌바40 전원재판부
가. 헌법 제27조 제1항은 ``모든 국민은 …… 법률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규정하여 법원이 법률에 기속된다는 당연한 법치국가적 원칙을 확인하고, `법률에 의한 재판, 즉 절차법이 정한 절차에 따라 실체법이 정한 내용대로 재판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이로써 위 헌법조항은 `원칙적으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0. 9. 10. 선고 89헌마82 전원재판부〔합헌〕
1. 가. 선량(善良)한 성도덕(性道德)과 일부일처주의(一夫一妻主義)·혼인제도(婚姻制度)의 유지(維持) 및 가족생활(家族生活)의 보장(保障)을 위하여서나 부부간(夫婦間)의 성적성실의무(性的誠實義務)의 수호(守護)를 위하여, 그리고 간통(姦通)으로 인하여 야기되는 사회적(社會的) 해악(害惡)의 사전예방(事前豫防)을 위하여, 간통행위(
자세히 보기대법원 1969. 12. 9. 선고 69다1232 판결
법정화해에 관여한 법관이 그 화해내용에 따라 목적물의 인도를 구하는 소송에 관여하였다고 해서 전심재판에 관여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9. 15. 선고 94누4455 판결
가. 행정소송에 있어서 소권은 개인의 국가에 대한 공권이므로 당사자의 합의로써 이를 포기할 수 없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4. 11. 11. 선고 2004다42166 판결
[1] 중재합의는 사법상의 법률관계에 관하여 당사자 간에 이미 발생하였거나 장래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의 전부 또는 일부를 법원의 판결에 의하지 아니하고 중재에 의하여 해결하도록 서면에 의하여 합의를 함으로써 효력이 생기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중재조항이 중재합의로서 효력이 있는 것으로 보기 위하여는 중재법이 규정하는 중재의 개념, 중재합의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5. 10. 26. 선고 94헌바28 全員裁判部
가. “법률(法律)에 의한 재판(裁判)을 받을 권리”라 함은 법관에 의한 재판(裁判)을 받되 법에 정한 대로의 재판(裁判), 즉 절차법(節次法)이 정한 절차(節次)에 따라 실체법(實體法)이 정한 내용대로 재판(裁判)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는 취지로서 자의(恣意)와 전단(專斷)에 의한 재판(裁判)을 배제한다는 것이므로 여기에서 곧바로 상고심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5. 9. 28. 선고 92헌가11,93헌가8·9·10 全員裁判部
가. 법관(法官)에 의한 재판(裁判)을 받을 권리(權利)를 보장(保障)한다고 함은 결국 법관(法官)이 사실(事實)을 확정(確定)하고 법률(法律)을 해석(解釋)·적용(適用)하는 재판(裁判)을 받을 권리(權利)를 보장(保障)한다는 뜻이고, 그와 같은 법관(法官)에 의한 사실확정(事實確定)과 법률(法律)의 해석적용(解釋適用)의 기회에 접근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2. 2. 28. 선고 2001헌가18 전원재판부
가.법관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보장한다고 함은 법관이 사실을 확정하고 법률을 해석·적용하는 재판을 받을 권리를 보장한다는 뜻이고, 그와 같은 법관에 의한 사실확정과 법률의 해석적용의 기회에 접근하기 어렵도록 제약이나 장벽을 쌓아서는 아니되며, 만일 그러한 보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아니한다면 헌법상 보장된 재판을 받을 권리의 본질적 내용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3. 6. 26. 선고 2002헌가14 전원재판부
가. 법 제20조 제2항 제1호에 관하여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3. 11. 25. 선고 91헌바8 全員裁判部
가 헌법(憲法) 제27조 제1항은 “모든 국민(國民)은 헌법(憲法)과 법률(法律)이 정한 법관(法官)에 의하여 법률(法律)에 의한 재판(裁判)을 받을 권리(權利)을 가진다”라고 규정하고 있는 바, 그 전단(前段) 부분인 “헌법(憲法)과 법률(法律)이 정한 법관(法官)에 의하여”재판(裁判)을 받을 권리(權利)라 함은 헌법(憲法)과 법률(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5. 5. 27. 선고 2005다12452 판결
[1] 조정 또는 중재를 분쟁해결방법으로 정한 선택적 중재조항은 계약의 일방 당사자가 상대방에 대하여 조정이 아닌 중재절차를 선택하여 그 절차에 따라 분쟁해결을 요구하고 이에 대하여 상대방이 별다른 이의 없이 중재절차에 임하였을 때 비로소 중재합의로서 효력이 있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2. 6. 26. 선고 90헌바25 全員裁判部
가. 재판(裁判)이란 사실확정(事實確定)과 법률(法律)의 해석적용(解釋適用)을 본질(本質)로 함에 비추어 법관(法官)에 의하여 사실적(事實的) 측면(側面)과 법률적(法律的) 측면(側面)의 한 차례의 심리검토(審理檢討)의 기회는 적어도 보장(保障)되어야 할 것은 물론, 또 그와 같은 기회에 접근하기 어렵도록 제약이나 장벽을 쌓아서는 안된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상사분쟁 중재절차상 조정의 제도화 연구
무역보험연구
2015 .12
재판 외 분쟁해결절차(ADR)로서 행정형 조정과 재판청구권의 관계 – 행정형 조정의 양면적 속성을 중심으로 –
헌법학연구
2021 .01
사법정의접근권 보장을 위한 분쟁해결절차 개선 - 조정제도 활성화의 관점에서 -
법학논집
2020 .01
싱가포르 협약과 민사조정법의 조정절차에 대한 체계 정합성 확보 방안
중앙법학
2022 .12
독일 조정법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우리나라의 행정형 ADR 기구의 법제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외법논집
2021 .08
개인정보 분쟁조정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헌법상 연구
미국헌법연구
2017 .04
코로나 19 팬더믹시대 온라인 조정제도 활성화를 위한 조정인의 역할
e-비즈니스연구
2021 .06
조정에 의한 무역분쟁의 해결방안 고찰
무역학회지
2018 .10
민간조정의 활성화를 위한 입법적 과제 : 독일과 일본의 법제도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저스티스
2016 .12
당사자에 의한 언론조정 결과 왜곡 공표의 법적 문제점 - 실제 분쟁 사례를 중심으로 -
미디어와 인격권
2022 .08
방송법상 분쟁조정제도의 쟁점과 과제 : 분쟁조정절차의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경제규제와 법
2018 .11
지식재산권 분야의 국제상사조정제도와 활용- WIPO조정을 중심으로
중재연구
2021 .06
지정토론문_재판청구권 보장과 ADR : 조정과 중재를 중심으로
저스티스
2019 .02
집단적 피해와 집단분쟁조정제도에 관한 연구
비교사법
2018 .05
프랑스의 조정제도와 시사점- 민간형 조정제도를 중심으로 -
인권과 정의
2020 .01
민간형 조정제도 활성화에 관한 연구- 이태리의 ‘완화된’ 조정전치주의 도입을 중심으로 -
중재연구
2021 .03
행정소송에서 조정제도 도입방향
인권과 정의
2022 .06
행정형 조정의 현황과 과제
인권과 정의
2022 .06
지정토론문_재판청구권 보장과 ADR - 조정과 중재를 중심으로
저스티스
2019 .02
싱가포르협약 비준 이전 국제상사조정의 효력, 보완방안과 상사조정에 적합한 일부 분쟁에 관한 소고
저스티스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