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머리말
Ⅰ. ‘위로부터의 근대화’를 보는 눈
Ⅱ. ‘日本的인 것’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Ⅲ. 부정적 인상과 유럽중심주의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냉전기 일본의 ‘메이지 vs 전후’ - 1960년대 경제내셔널리즘의 대두 -
日本思想
2019 .01
[일본 근현대] 일본 근현대사 연구의 동향, 2016~2017
역사학보
2018 .09
근대 일본의 도덕교육에 관한 일고찰—메이지 전기 교육사상의 변용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2018 .01
신문기사를 통해 본 근대 일본의 육식 문화 연구
일어일문학
2015 .08
일본 제국주의의 정신구조
개념과 소통
2015 .01
한반도 지하의 후견헌법― 소설 「총독의 소리」의 경륜론과 메이지 헌법
대동문화연구
2023 .06
과연 ‘군사혁명론’은 보편성을 지닌 테제인가? -17-18세기 영국 육군의 전투사례를 중심으로-
서양사론
2021 .12
메이지 일본의 대조선 외교와 군사 기술, 1876-1882
한국과학사학회지
2015 .01
[일본근현대] 역사와 기억 사이에서, 전쟁과 평화 사이에서
역사학보
2020 .09
1920년대 영국 해군 중장 조지 밸러드의 일본사 저서가 갖는 의미-「해양이 일본 정치사에 미친 영향」(1921)을 중심으로 -
영국 연구
2015 .01
일본문화교육 전후 일본이해도 차이 연구 ― 경남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日本語敎育
2021 .09
古代 韓日關係史에 대한 유럽에서의 역사적 담론 형성과 전파 ― 19세기 후반 영국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18 .01
일본의 내전과 내셔널 히스토리의 변주
日本思想
2017 .01
유교문화와 일본 근대성에 대한 고찰
헤겔연구
2017 .01
영국 외교정책의 변화추이, 1860~1914 ― 대(對)중국 외교정책 중심으로 ―
동양학
2017 .01
메이지 천황의 ‘신성’함의 기원들 ― 메이지헌법 신성불가침 조항의 의미에 대하여 ―
일본학보
2021 .11
近代 韓國의 中國語文法 수용 고찰 : 日帝强占期 中國語 敎材를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16 .06
메이지정부의 식육정책과 아지노모토 ―우마미의 발견―
日本學硏究
2017 .01
19세기 후반 영국의 일본 공예 인식과 수용-크리스토퍼 드레서의 일본 여행과 미적 취향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22 .08
對馬島人 退去 이전의 朝日交涉
한일관계사연구
2017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