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북한 여성, 문화로 읽기
2. 제도, 신화, 북한 여성
3.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 여성들의 일상적 실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북한 연구에서 북한 문화연구로
문화과학
2018 .12
‘북한 연구’와 ‘여성 연구’가 만났을 때: 『북한 여자: 탄생과 굴절의 70년사』
통일인문학
2017 .09
북한 문화정책의 문화번역적 해석
문화과학
2018 .12
나의 북한, 북한 사람 체험기
철학과 현실
2019 .12
북한이 크게 달라졌다. 어떻게 상대할 것인가?
황해문화
2022 .12
전후 북한여성의 삶과 탈북의 전략적 선택
여성과역사
2016 .01
[한국] 문학의 눈으로 북한을 보다
창비어린이
2019 .12
문화는 어떻게 몸에 새겨지는가?
인물과사상
2017 .07
북한교육의 발전과정과 특징
현대사광장
2015 .12
2000년대 북한여성의 패션과 소비문화
통일인문학
2022 .12
북한이탈여성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적 이해: 생존의 모티브 하갈을 중심으로
목회와 상담
2021 .01
시대를 거슬러 새 길을 만든 여성들
PAPER
2025 .01
북한 문학에 나타난 역사 인식
현대사광장
2015 .12
한 엘리트 북한여성의 생애사로 본 분단체제하의 여성의 삶과 가족의 생존전략
여성과역사
2015 .01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여성들의 참여와 성평등한 한반도 : 성과와 향후 방향
한국여성신학
2021 .07
청년문화에 여성의 자리는 있는가?
인물과사상
2016 .06
해방 이후 북한의 군중문화사업 연구(1945~1950)
동방학지
2021 .01
첫 직장과 결혼 : 북한 여성의 직장진출과 진로분화
통일인문학
2020 .12
북한어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 소통과 통합의 과제를 중심으로
새국어생활
2017 .03
북한 이탈 여성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적 이해: 생존의 모티브 하갈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신학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