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북한이 변했다
북한은 여전히 한미일에 미련을 가지고 있을까?
북한 경제는 여전히 어려울까?
달라진 북한과 ‘한미일 대 북중러’의 출현
달라진 북한을 어떻게 상대할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북한 연구에서 북한 문화연구로
문화과학
2018 .12
나의 북한, 북한 사람 체험기
철학과 현실
2019 .12
북한 여성과 문화연구
문화과학
2018 .12
[한국] 문학의 눈으로 북한을 보다
창비어린이
2019 .12
‘북한 연구’와 ‘여성 연구’가 만났을 때: 『북한 여자: 탄생과 굴절의 70년사』
통일인문학
2017 .09
북한교육의 발전과정과 특징
현대사광장
2015 .12
북한 문학에 나타난 역사 인식
현대사광장
2015 .12
북한어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 소통과 통합의 과제를 중심으로
새국어생활
2017 .03
〈만수대 마스터 클래스〉: 아프리카의 북한 예술
문화과학
2018 .12
북한의 법률체계와 헌법의 특징
현대사광장
2015 .06
미래는 상대적 개념
자음과모음
2020 .03
북한 역사학의 3.1운동 인식
[TCHCCOS] 서울과 역사
2018 .06
2000년대 이후 북한사 연구의 성과와 문제
역사와현실
2015 .09
통일 관계에서 본 북한선교 정책전략: 북한의 인권과 탈북민 문제를 중심으로
선교신학
2016 .05
한국 유튜브 영상의 북한 이미지 연구
아시아문화연구
2024 .08
북한 문화정책의 문화번역적 해석
문화과학
2018 .12
판문점 도끼살해사건 해결과정을 통해 본 대북 강압외교 연구
군사연구
2015 .01
북한 ‘급변사태’ 논의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국가성의 존속 및 자결권 원칙을 중심으로
담론201
2017 .01
The Effect of North Korea’s Foreign Trade on Economic Growth
유라시아연구
2018 .01
북한 상품의 현황과 특징 : 서해5도 지역에서 수거한 생활쓰레기 중 상품 포장지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