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대중음악과 한일관계
Ⅲ. 불완전 번역의 의도된 효과
Ⅳ. 역사적 맥락에서 인간적 정감으로
Ⅴ. 언어적 조탁의 초월적 의미
Ⅵ.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어 근대 대중가요와 번역 : 일본어 텍스트와의 문화적 상호작용
아시아문화연구
2017 .12
The Impact of Western Popular Music in Korea: The Development of “Jazz Song”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Korea Observer
2016 .09
근대 한일 대중가요의 성립 과정과 번역 : 〈카추샤의 노래〉의 원곡과 번역곡 가사의 비교분석
아시아문화연구
2015 .09
한일 근대 대중가요의 관련 양상 서설 : 가사의 번역과 번안, 문화의 수용과 변용
아시아문화연구
2016 .12
한국 대중가요 분석과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활용
언어와 문화
2019 .01
한・일 대중가요의 교류와 번안사례에 대한 고찰
日本學硏究
2018 .01
중국조선어 대중가요 어휘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019 .01
<도라지타령>의 양상과 일본·오키나와로의 수용
열상고전연구
2016 .10
계량적 접근에 의한 1930-40년대 대중가요 어휘 연구
어문론총
2015 .01
《동시YO》의 음악적 특성 분석 - 대중음악 수용 및 창작기법을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9 .06
금수현의 노래 연구
로컬리티 인문학
2022 .10
A Study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Songs in EFL Classrooms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20 .01
대중가요 이미지 분석 -이미자의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철학∙사상∙문화
2020 .01
일본 대중문화의 유입과 한일관계
일본문화연구
2015 .01
K-POP 가사의 중국어 번역 실태와 품질 — 위너(WINNER)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21 .11
韓悠韓의 항일음악 연구
숭실사학
2021 .12
대중가요에 나타난 이주와 이산 : 초창기에서 1980년대까지
HOMO MIGRANS
2016 .05
한국과 중국의 근대 대중가요 민족화 연구 - 신민요와 신민가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20 .02
북한 어업노동요의 음악적 특징
공연문화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