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며
Ⅱ. 일제의 식민 지배와 전시체제
Ⅲ. 해방과 분단, 그리고 전쟁
Ⅳ. 산업화와 이촌향도, 기타
Ⅴ. 나오며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어 근대 대중가요와 번역 : 일본어 텍스트와의 문화적 상호작용
아시아문화연구
2017 .12
한일 근대 대중가요의 관련 양상 서설 : 가사의 번역과 번안, 문화의 수용과 변용
아시아문화연구
2016 .12
계량적 접근에 의한 1930-40년대 대중가요 어휘 연구
어문론총
2015 .01
고전시가와 대중가요에 대한 원근법적 이해의 구도와 연구사적 전망
고전과 해석
2023 .04
한국어 대중가요의 일본어 번역 : 제1차 한류와 ‘이별’ 텍스트의 언어횡단
아시아문화연구
2018 .12
Linguistic and social factors affecting the /ɨ/ and /ʌ/ dispersion in Kyungsang Korean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7 .12
A Study o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Songs in EFL Classrooms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020 .01
[별의별이주00] ‘별의별’ 현장에서 길을 찾는 이주 경험에 대해 외
월간 옥이네
2024 .12
금수현의 노래 연구
로컬리티 인문학
2022 .10
한국 대중가요 분석과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활용
언어와 문화
2019 .01
꽃을 소재로 한 대중가요의 양상과 특징 : 1950년대 노래책 속 작품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0 .01
북한 어업노동요의 음악적 특징
공연문화연구
2019 .01
남북 주민의 정서 소통 기제로서 대중가요
통일인문학
2017 .09
중국조선어 대중가요 어휘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언어사실과 관점
2019 .01
시적 상상력을 활용한 문화적 글쓰기 - 시적 상상력과 대중가요의 상보성을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23 .01
한・일 대중가요의 교류와 번안사례에 대한 고찰
日本學硏究
2018 .01
〈대중가요와 시조의 미래〉좌담회
시조시학
2020 .12
연세대학교 소장 가집 『옛시조책』의 특성
인문과학
2020 .01
지역의 민요를 넘어 세계의 민요로-민요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 - 권오경, 『한국민요현장과 경계넘기』(민속원, 2018)
어문론총
2019 .01
19세기 아일랜드인들의 영국 이주 원인과 양상
역사교육논집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