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며 : 적폐 청산의 시대를 맞아
2. 적폐의 토대 : 한국사회의 성격
3. 촛불 항쟁, 그 이후 사회 운동의 방향
4. 나가며 : 촛불 광장에서 또 다른 촛불을 보다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적폐청산 대 정치보복”을 철학적으로 이해하기
철학과 현실
2017 .12
적폐청산의 시발점, 공안체제의 해체
황해문화
2017 .06
교회의 권력세습과 한국 사회의 적폐
제3시대
2017 .12
수막새에 새겨진 선악의 철학 —신라의 미소, 수막새를 통한 고찰—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0 .01
청산곡
시조시학
2019 .06
선출되지 않은 권력들, 적폐의 거대한 뿌리
황해문화
2018 .06
청산되어야 할 적폐, 국수주의 유사 역사학
역사와현실
2017 .09
‘적폐’와 ‘종북’이라는 유령
황해문화
2017 .06
도덕성 은유와 프레임 전쟁 : 적폐 청산을 중심으로
담화와인지
2019 .05
[미디어] 적폐의 적반하장
황해문화
2017 .12
김환균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 : 언론 개혁이 적폐 청산이다
인물과사상
2017 .06
악에 대한 환원주의적 해명에서 통전적 전환으로: 리쾨르의 악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신학논단
2023 .12
김교제 신소설에 나타난 ‘악’의 표상에 관한 연구 : 젠더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17 .04
세월호 참사와 악의 문제 - 아렌트를 중심으로
기독교사회윤리
2020 .01
ПРОБЛЕМА ЗЛА В РОМАНЕ ДМИТРИЯ НОВИКОВА ≪ГОЛОМЯНОЕ ПЛАМЯ≫
외국학연구
2021 .01
악의 문제에 대한 실천적 대응 - 본회퍼와 아렌트의 악의 이해를 중심으로
장신논단
2020 .06
다층적 이행기 정의의 포괄적 청산과 화해 실험 : 진실화해위원회의 진실·화해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5 .12
한당시대 유학에서의 선악개념의 변화양상
양명학
2020 .09
‘포괄적 과거 청산’은 실패인가 : 진실화해위원회 현황과 과거 청산의 과제
문화과학
2024 .06
선과 악의 대립과 공존, 그리고 치유: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와 《블랙 스완》 비교 연구
동서비교문학저널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