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며
2. 자연법적 시민에서 인륜성의 시민으로
3. 가능성의 현실화 그리고 새로운 자유주의
4. 다시 민주주의: 일차원적 민주주의를 넘어서
5. 나오며: 비일상적 현실의 기억, 가능성으로서의 촛불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촛불 1주년 포럼〉촛불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광장이 던진 질문과 시민사회운동의 과제”
시민과세계
2018 .01
촛불의 리듬, 광장의 문화역동 : 민주주의 정치를 위한 인식적 지도 그리기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7 .02
촛불집회 이후 시민과 시민사회단체의 양자간 인식 변화: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NGO연구
2018 .01
Korea’s Candlelight Protests in Context : Evidence from the Asian Barometer Survey and Global Events Data
평화연구
2019 .04
촛불과 문재인 정부 :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의 탈구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9 .02
한국의 민주주의는 6월항쟁을 졸업하고 촛불혁명으로 진화한다
헌법학연구
2017 .01
2016-2017년 촛불집회의 역사적 맥락과 ‘마지노선 민주주의’
21세기정치학회보
2018 .03
촛불시위의 사회문화적 변화와 의미
동북아연구(구 통일문제연구)
2019 .01
촛불, 한국 민주주의와 정치의 재구성
경제와사회
2017 .03
사회적 자본이 시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 광화문 촛불 참여 전·후를 중심으로 -
시민과세계
2020 .06
촛불광장과 적폐의 여성화 : 촛불이 만든 것과 만들어가는 것들
시민과세계
2017 .06
변화를 향한 열망, 하지만 여전히 규율되고 있는 의식 : 2016년 촛불시위에 대한 하나의 해석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7 .02
한국 시민사회 30년(1987-2017)의 시민참여와 민주주의
시민사회와 NGO
2017 .01
‘촛불혁명’론과 자본주의적 민주주의 그리고 사회주의적 민주주의
마르크스21
2018 .05
대한민국을 민주공화국 주권자의 헌법공동체로 만들기: 촛불시민혁명의 주권자적・시민적 요구에 부합하는 국가개조의 규범적 통합이념에 관하여
NGO연구
2017 .01
동학농민운동이 촛불혁명에 미친 영향
동학학보
2021 .12
광장 한 가운데서, 촛불 이후를 생각한다
민주법학
2017 .01
[책 머리에] 촛불혁명을 생각한다
월간 시대
2018 .10
시민성의 역사성 : T. H. 마셜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OUGHTOPIA
2017 .05
시민(사회), 국민(사회), 사회권 : 한국 민주주의의 시민권적 (몰)진화
한국사회학
2025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