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임진전쟁의 발발과 종묘 신주의 파천
Ⅲ. 한성 환도와 假廟의 성립
Ⅳ. 신묘 재건 논의와 종묘의 낙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Jongmyo Shrine 宗廟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1 .12
부묘를 통해 본 종묘 이해
종교문화비평
2024 .03
서명응의 종묘제례악 고찰
한국철학논집
2024 .02
조선 초기 종묘 親享儀의 禮樂 구성
한국사학보
2022 .02
신라 하대 왕실의 종묘제 운영과 그 여파
사림
2022 .07
종묘의궤속록을 통해본 정조대의 종묘제사
포은학연구
2019 .01
종묘의 공민왕 신당과 수복 연구 : 일제강점기 ≪종묘일지≫와 ≪대방하기≫를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
2021 .09
秦代 이전 宗廟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小考 - 古文字에서의 象形과 周代의 宮廟遺跡地 조사 및 文獻的 사례를 중심으로 -
동서철학연구
2016 .03
종묘제례악 원형과 현행의 비교 고찰
공연문화연구
2016 .02
백제 전지왕의 연호 제정과 종묘
백산학보
2021 .12
고종 대 책보의 봉안과 이동 - 북한행궁과 종묘 봉안을 중심으로 -
장서각
2023 .04
조선 초기 王室祖上儀禮의 유교적 정비
한국사학보
2017 .02
高句麗 王室의 世系 인식 추이와 宗廟의 변천
인문과학연구
2016 .01
혜공왕대 ‘始定五廟’의 정치적 의미
한국고대사연구
2023 .06
英祖代 思悼世子 대리청정기 종묘 의례시행 양상
역사와 담론
2023 .10
조선후기 종묘 신실(神室)공간의 구성방식과 성격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1 .06
唐·宋·元의 律典에 具顯된 謀大逆罪의 構成要件과 刑罰體系 : 『唐律疏議』, 「名例律」 「十惡條」·「賊盜律」 「謀反大逆條」의 規定內容을 중심으로
역사와 세계
2018 .06
伊藤東涯의 『三韓紀畧』편찬과 조선 연구
사학연구
2018 .03
영건의궤로 살펴본 벽(壁)의 명칭에 관한 고찰- 종묘 정전·영녕전의 갑벽(甲壁)을 중심으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1 .12
종묘 지당(池塘)의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