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I. 서언
II. 『日本書紀』 任那日本府 사료의 세계
III. 日本史學과 任那日本府
IV.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임나일본부’ 연구와 식민주의 역사관
역사비평
2016 .05
한국고대사 시대 설정에서의 가야사 위상 정립을 위한 시론적 논의
사림
2023 .01
백제의 남방 확장과 가야 접경의 변화
마한백제문화
2021 .12
임나강역고-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 「任那疆域考」 『朝鮮歷史地理』 第1卷(歷史調査報告 第2), 南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인문학연구
2016 .01
도성으로 본 가야, 백제, 중국 남조
동북아역사논총
2024 .09
‘변한과 가야’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고대사연구
2018 .03
전기 가야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고대사연구
2017 .03
연동하는 전쟁, 6세기 삼국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23 .12
6세기 백제의 가야 진출에 대하여
한국고대사연구
2020 .03
任那日本府 연구의 허상과 실상
문물연구
2024 .05
후기 가야 고고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고대사연구
2017 .03
6세기 전반 한반도 남부의 정세와 ‘안라국제회의’
역사와현실
2020 .03
SNS 기록을 통해 본 대중의 가야 인식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22 .12
중국학계의 백제사 연구 현황과 전망
동북아역사논총
2022 .09
백제의 사비회의 개최와 가야 諸國의 대응
사학연구
2018 .09
日本學界의 『翰苑』 硏究 動向과 課題 -7世紀 資料로서 活用하기 위한 試論-
백산학보
2021 .08
고고학으로 본 가야의 개념과 영역
한국고대사연구
2019 .06
加耶轉換期 金海 狗耶·金官國의 推移
고고광장
2022 .12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術」을 통해 본 고대 한일교류
일본어문학
2021 .08
가야의 국가발전단계와 가야사연구
역사와 세계
2018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