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머리말
1. 신라와 가라의 ‘결당(結儻)’과 백제의 대응
2. 탁순국(卓淳國)의 자구책과 백제 신라의 공모
3. 안라의 반발과 ‘안라국제회의’의 전말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나사(移那斯) · 마도(麻都)의 행적과 경계인의 삶
역사와현실
2020 .09
考古學으로 본 非火加耶史
중앙고고연구
2019 .01
백제의 남방 확장과 가야 접경의 변화
마한백제문화
2021 .12
일본 시코쿠(四国)지역의고대한국계 신사(사원)와 전승
日本學硏究
2015 .01
후기 가야 고고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고대사연구
2017 .03
‘변한과 가야’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고대사연구
2018 .03
백제의 사비회의 개최와 가야 諸國의 대응
사학연구
2018 .09
6세기 전반 가야와 신라의 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20 .09
가야 諸國과 고구려의 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20 .06
도성으로 본 가야, 백제, 중국 남조
동북아역사논총
2024 .09
고고학으로 본 가야의 개념과 영역
한국고대사연구
2019 .06
加耶轉換期 金海 狗耶·金官國의 推移
고고광장
2022 .12
신라 ‘삼국통일’ 논쟁의 논점과 방향
역사비평
2019 .11
연동하는 전쟁, 6세기 삼국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23 .12
가야의 국가발전단계와 가야사연구
역사와 세계
2018 .12
9세기 나당관계와 재당신라인 사회
역사와경계
2020 .06
6세기 백제의 가야 진출에 대하여
한국고대사연구
2020 .03
전기 가야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고대사연구
2017 .03
任那日本府 사료의 세계와 日本史學
한국고대사연구
2018 .09
『계원필경집』을 통해 본 최치원의 귀국 항로 - 『입당구법순례행기』의 엔닌 귀국 항로와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신라사학보
2024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