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국왕과의 소통과 제도화
Ⅲ. 민본 이념과 소통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려 서류부가혼 사회의 여성상과 부덕
여성과역사
2015 .01
연속의 관점에서 바라본 고려와 조선의 왕조 교체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20 .09
고려시대 일본과의 의료 교류와 그 성격 - ‘동아시아의료’의 한 사례 -
의사학
2023 .04
왜 고려전기의 國制는 황제국 체제로 보일까? - 후대 감각과 지식의 소급 적용으로 탄생한 고려전기 황제국 체제 -
역사학보
2021 .06
고려 전기 軍功者포상의 절차와 내용
사학연구
2015 .09
고려적 國制 운용의 인식적 맥락들
민족문화연구
2021 .08
13~15세기 천하질서하에서 고려와 조선의 국가 정체성
역사비평
2017 .11
고려시대 유학 교육과 여말선초 학맥의 형성
동방한문학
2020 .01
고려시대 환자들의 질병 대응양상과 동아시아의학의 대중화
사림
2022 .07
고려 중기 북송 신유학 전래 再論― 『宋史・楊時列傳』의 “(高麗)國主問龜山安在” 記事 분석
대동문화연구
2019 .01
리(李) 왕조 시기의 중앙집권체제의 강화와 유교이념
베트남연구
2024 .06
고려의 對蒙 대응 논리와 ‘大國이미지’ : 1231, 1232년 외교문서를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2015 .11
조선왕조의 戶籍과 통치체계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01
일본 고대사 연구의 ‘왕조(王朝)’ 개념
한국고대사연구
2023 .06
[조선시대 톺아보기] 《경국대전》 조선 왕조의 통치이념을 담다
유레카
2024 .07
魏・晉・南朝의 禪讓과 역사학
동아인문학
2021 .06
소통
수필미학
2022 .06
「조선왕조의 戶籍과 통치체계」에 대한 토론문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5 .01
고려시대 ‘교과서 서사’의 해체적 읽기와 역사적 사고 과정의 구현
역사교육
2017 .09
朝鮮王朝의 건국과 國號 문제
한국사학보
2015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