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자연과 인간은 공존할 수 없는가?
모든 생명체의 공감과 공존으로서의 새로운 생태학
인간-사회-자연이라는 세 가지 생태학적 환경과 실천의 문제
세 가지 생태학은 어떤 주체를 생산하는가?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儒·佛의 생태관 비교연구
불교연구
2021 .08
생태학적 관점과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이중언어학
2023 .06
욕망의 생태학과 주체화 양식 구성을 위한 시론
현대사상
2015 .05
인간생태학에서 본 주역의 세계와 공동체적 가치관
새한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11
‘들린 여성성’의 정치생태학 - 1980년대 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1 .12
북미 심층생태학의 전개와 특성: 생태학과 종교/영성의 결합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
2019 .01
생태학 관점의 문학교육 제재 구성 방향
우리말글
2017 .03
「‘들린 여성성’의 정치생태학-1980년대 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1 .12
인간적인 것 너머의 종교학, 그 가능성의 모색: 종교학의 ‘생태학적 전회’를 상상하며
종교문화비평
2019 .01
국어교육 제재의 생태학적 가치 탐색을 위한 준거 마련
우리말글
2016 .09
외계인과 함께 살기 : 생태학적 상상력에 대한 비판적 소고
문화과학
2022 .09
‘인류세’ 논의를 둘러싼 쟁점과 테크노-생태학적 전망
문화과학
2019 .03
톨스토이의 소설 『카자크인들』: 생태학적 사유와 삶의 모순의 문제
문학과환경
2020 .12
해양경관생태학의 시작점에서
도서문화
2021 .12
문학교육 담론에서의 생태학 적용 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문학과환경
2022 .03
생태학 관점의 문법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어문학
2022 .12
사회생태학의 관점으로 본 신동엽의 시 : 『금강』을 중심으로
문학과환경
2016 .06
게리 스나이더의 생태학과 선불교적 관점에 대한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17 .10
게리 스나이더 연구 : 생태학적, 선불교적 상상력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06
The Solidarity of Human Ecology and Ecological Theology for Our Ecological Crisis
한국조직신학논총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