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문제의식의 실타래: 생태환경의 담론
2. 인간생태학과 지속가능한 구조
3. 易의 관계망(web)과 天地의 실재(reality)
4. 變通觀과 세계의 創發的(emergent) 구조
5. 乾坤의 創新的(creative) 방식과 道義의 관문
6. 문제해결의 실마리: 지속가능한 세계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논평문] 김연재 선생의 「인간생태학에서 본 주역의 세계와 공동체적 가치관」을 읽고
새한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11
진정한 생태학을 위한 ‘세 가지 생태학’
통일인문학
2018 .03
한국문화교육에서 한국인 가치관의실증적 규명에 관한 연구
우리어문연구
2019 .01
분석심리학의 동시성원리와 『주역』의 통(通) 개념
철학∙사상∙문화
2015 .01
어떤 공동체
자음과모음
2022 .03
공동체
상상인
2024 .08
인간다움이라는 아름다움
월간에세이
2025 .04
어떻게 살것인가 - 인간의 길 -
세계와선교
2017 .06
『주역명의(周易明意)』의 비평적 접근
태동고전연구
2020 .01
儒·佛의 생태관 비교연구
불교연구
2021 .08
『주역명의(周易明意)』 발췌 번역
태동고전연구
2020 .01
노재(魯齋) 허형(許衡)의 독역사언(讀易私言)? 분석
유학연구
2021 .01
인간적인 것 너머의 종교학, 그 가능성의 모색: 종교학의 ‘생태학적 전회’를 상상하며
종교문화비평
2019 .01
유럽 예수회 선교사들의 『주역』 이해 ─ 유클리드의 기하학과 서양 수학이 『주역』 해석에 미친 영향
다산학
2019 .01
내내 세계는 어여쁘소서
숙명문학
2021 .11
안의 세계
자음과모음
2021 .06
다시 만난 세계
제3시대
2019 .06
다시 만난 세계
한국여성신학
2024 .12
생태학적 관점과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이중언어학
2023 .06
비대면(non-contact) 시대의 공동체 지형
인격주의 생명윤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