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여류’의 종언 이후 여성시 – 1980년대와 김혜순
3. 모성의 위기와 반(反)생명의 테크놀로지
4. ‘들린 여성성’과 이계(異界)를 향한 글쓰기
5. 결론을 대신하여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들린 여성성’의 정치생태학-1980년대 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에 대한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1 .12
세 마리의 눈 먼, 돼지 – 김혜순의 시에 부쳐
문학들
2015 .02
‘여성시인’이 시를 쓴다는 것: 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관점에서 다시 읽는 김혜순의 초기시
현대문학의 연구
2019 .01
1990년대 김혜순 시의 포스트모던적 경향 연구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2 .12
‘들린 여성성’의 정치생태학 - 1980년대 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22 .11
진정한 생태학을 위한 ‘세 가지 생태학’
통일인문학
2018 .03
「1990년대 김혜순 시의 포스트모던적 경향 연구」에 대한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2 .12
김혜순 시의 놀이성 연구 –1980년대 시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024 .04
포스트휴먼 시대 비인간 담론으로 다시 읽는 여성시 - 김승희 · 김혜순 · 최승자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3 .11
`여성적 글쓰기`와 재현의 문제 : 고정희와 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18 .04
[시] 시는 아직 태어나지 않았으므로 : 니카노르 파라 『시와 반시』, 김혜순 『여성, 시하다』
자음과모음
2017 .12
김혜순 시의 포스트모던적 경향 연구
한국시학연구
2023 .02
김혜순 시의 어머니 표상 연구
한국시학연구
2021 .02
김혜순 시에 나타난 ‘몸’의 의미— ‘여성성’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7 .01
[거울 속에 비친 엄마들] 김혜순, 「딸을 낳던 날의 기억 ― 판소리 사설조로」
자음과모음
2021 .06
김혜순 시의 헤테로토피아적 공간 연구 ― 2000년대 이전 시를 중심으로
국제한인문학연구
2023 .04
김혜순 시의 “죽음” 이미지와 보편성의 문제 - 『죽음의 자서전』, 『날개환상통』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21 .04
돌봄의 정치: 무엇을 돌볼 것인가?
문화과학
2024 .12
儒·佛의 생태관 비교연구
불교연구
2021 .08
김혜순 시에 나타난 ‘새’의 사유이미지 연구 ― 『피어라 돼지』, 『죽음의 자서전』, 『날개 환상통』을 중심으로
국제한인문학연구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