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역사 속의 요동(遼東)
2. 전쟁의 시대: 요동치는 요동과 한반도
3. 평화의 시대: 매개자이자 완충재로서의 요동
4. 한중관계에서 요동 지역 정부 기구의 역할
5. 더 많은 과제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5세기 초반 조선과 명의 정보교류와 요동(遼東)
역사와현실
2018 .03
고조선 중심지의 위치 문제에 대한 쟁점과 과제
역사와현실
2015 .12
16세기 조선의 압록강 하구 도서(島嶼)에 대한 영토인식과 외교전략
역사와현실
2015 .09
총론
역사와현실
2022 .12
원대 요동 여원(麗元) 접경에서의 요양행성 역할 고찰
역사와현실
2018 .03
총론 : 의학서로 다시 읽는 고려 사회
역사와현실
2019 .06
연·진·한 장성은 요동지역에 있었을까
동북아역사리포트
2022 .12
17세기 후반의 한중관계와 동아시아 : 1644~1700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4
수교 이후 한중관계의 평가와 신형관계(新型關係)를 위한 정책제언
아시아문화연구
2020 .08
고대 ‘中國’과 ‘遼東’의 정치적 관계
중국고중세사연구
2017 .11
『성경 해석학 총론』
신학지남
2024 .09
사드와 한반도 미래 : 한중관계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황해문화
2017 .06
16세기 동아시아 질서에서 본 조선 對明貿易의 특징과 위상
역사학보
2017 .12
[총론] 덕질의 시대와 아이돌-되기
자음과모음
2018 .09
총론 : 고려 · 몽골관계의 새로운 접근을 위한 시론
한국사학보
2015 .11
[중국근세Ⅱ] 주변부가 중심이 된 명청사 연구
역사학보
2020 .09
16세기 초중반 한중관계의 이념성과 중층성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4
‘요동’의 기억― 명나라 사행시의 전통과 육당의 <松漠燕雲錄>
대동문화연구
2015 .01
2세기 전반 高句麗와 後漢의 관계 변화
동양학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