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시비의 원인 : 성심(成心)
3. 시비의 논리 : 인시인비(因是因非)
4. 진인의 논리 : 인시(因是)
5. 도로써 살펴봄(以道觀之)
6. 나오는 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장자의 物과 知에 관한 고찰 : 「齊物論」과 「秋水」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2019 .04
초기 유가의 자유지향경향성에 관한 시론(試論)
동양철학연구
2022 .11
수양론적 맥락에서 『장자』 ‘枯木死灰’論의 이해(1) - 『장자』 내적인 의미체계를 중심으로 -
양명학
2019 .12
북학파의 『주역』해석 방법론 연구(Ⅰ)- 초정(楚亭) 박제가(朴齊家)와 근기남인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18 .01
『莊子』 「德充符」 ‘畸人’ 寓言의 意味
도교문화연구
2016 .11
<<齊民要術>> ‘塗甕’처리를 통해본 중국 陶器의 특징 : 韓半島 陶質의 甕과 관련하여
중국사연구
2019 .01
北周의 舊北齊(山東) 支配와 그 한계
동양사학연구
2018 .09
首陽山의 位置에 관한 論難과 그 詩的 形象化
동양한문학연구
2015 .06
百濟 王興寺址 出土 舍利莊嚴具와 6세기 동아시아 불교문화
백제연구
2018 .01
古代 韓半島의 젓갈의 出現과 普及: 『齊民要術』과 관련하여
중국사연구
2022 .04
中國畵壇의 혁신논의와 齊白石의 계승과 초월
중국어문학논집
2019 .08
『산해경(山海經)』내 고대 한국의 역사, 지리 관련 자료 검토
도교문화연구
2016 .11
소식(蘇軾)의 『동파역전(東坡易傳)』에 나타난 괘효구조(卦爻構造)를 바라보는 제물론적 인식
태동고전연구
2021 .01
『南齊書』 「五行志」 譯註 2
중국사연구
2022 .08
清朝文人과 나눈 朴齊家의 편지 자료 검토-縞紵集 을 중심으로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23 .02
≪三國演義≫에 나오는 弓弩 戰術에 관하여
중국어문논총
2015 .02
<齊世家>에 수용된 晏子 형상 연구 - 司馬遷의 수용 태도를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총
2015 .02
明清 시기 永平府 夷齊廟의 변천과 조선 사신의 ‘백이 · 숙제 고사’에 대한 인식
한국학논집
2019 .12
생의 중심을 벗어나
수필미학
2020 .06
문화대혁명 시기 기층 의료 현장의 국가-사회관계 ― 베이징(北京) 교구 농촌의 ‘맨발의 의사(赤脚医生)’를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