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근대전환기 신문 광고의 일반적 특징
3. 신문 광고에서 드러나는 계몽적 특징
4. 근대전환기 신문 광고의 계몽적 수사가 지닌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푸코의 칸트 『인간학』 독해의 양면성
서강인문논총
2024 .08
근대계몽기의 기계 표상 - 이해조의 번안소설 『텰세계』를 대상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2019 .01
깨달음의 본질과 일상성: 왜 신비화와 일상성의 비교인가?
동서비교문학저널
2024 .06
자기 자신에 대해 계몽되지 않은 계몽 -헤겔 『정신현상학』의 근대적 주체성 비판-
가톨릭철학
2021 .01
노동하는 신체와 ‘국민’ 되기
역사연구
2019 .06
The Enlightenment and Its Legacy in Victorian Fiction
영어영문학
2016 .01
근대계몽기 가사(歌辭)와 개인의 발견- 신문과 잡지 수록 작품의 일단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2019 .01
계몽의 불안 : 루쉰과 이광수의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
2017 .04
한국 현대문학에서 ‘계몽’과 ‘감정’의 관계성, 그리고 미적표지(美的標識) - 1920년 전후 신진 문학가의 문학론과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19 .11
『傳心法要』에 나타난 大乘禪觀 小考
한국불교학
2016 .01
≪大乘起信論≫之“真心本覺”思想探析
동양문화연구
2021 .11
계몽정신의 동일성사고 비판 -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용봉인문논총
2017 .01
계몽이야기의 한 양상: 이인직의 <血의淚>와 <鬼의聲>, <銀世界>를 중심으로
국제한인문학연구
2017 .02
계몽의 극한으로서의 사회진화론의 철학적 의의
철학논집
2019 .01
메이지 일본의 국체론적 계몽주의 — 이데올로기로서의 ‘교(敎)’와 계몽의 구조 —
개념과 소통
2019 .01
근대 계몽기 지식 유통의 특징과 역술 문헌에 대하여
어문론집
2015 .09
조사선에서 깨침의 속성과 그 기능
불교학연구
2018 .01
19세기 이후 개화담론에 나타난 예술인식
양명학
2019 .12
근대전환기 신문 광고의 서사적 삽화 연구
온지논총
2018 .01
『한성신보』의 한국 정치 및 사회에 대한 인식
역사와현실
201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