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민주주의, 시민영역, 그리고 촛불집회
Ⅱ. 한국 시민사회의 담론구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Jeffrey Alexander의 ‘시민적 개선’을 다시 보기: 대학 입시 제도의 공정성 담론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22 .08
촛불집회 이후 시민과 시민사회단체의 양자간 인식 변화: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NGO연구
2018 .01
촛불의 리듬, 광장의 문화역동 : 민주주의 정치를 위한 인식적 지도 그리기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7 .02
촛불의 시민성: 시민사회를 넘어서는 시민
시민과세계
2017 .06
촛불집회 이후의 경제적 · 사회적 민주주의의 전망
경제와사회
2019 .03
North Korea’s Perception of South Korea’s Candlelight Vigil
Journal of Peace and Unification
2023 .05
변화를 향한 열망, 하지만 여전히 규율되고 있는 의식 : 2016년 촛불시위에 대한 하나의 해석
마르크스주의 연구
2017 .02
Civil Repair and Boundary Tension Between Civil Sphere and Economic Sphere : The Case of Credit Amnesty and Credit Information Breach
문화와 사회
2017 .04
2016-2017년 촛불집회의 역사적 맥락과 ‘마지노선 민주주의’
21세기정치학회보
2018 .03
촛불집회와 정책변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2021 .09
How Citizens React to Political Scandals Surrounding Government Leaders: A Survey Study in Hong Kong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2015 .01
촛불집회와 좋은 거버넌스: 대의정치 개혁 과제를 중심으로
의정논총
2017 .01
Beyond Jeffrey Alexander’s Theory of Social Crisis : Focusing on the Discourse of the “Collapse of School”
문화와 사회
2017 .04
2016년–2017년 박근혜 퇴진 촛불집회 참여의 결정요인
의정연구
2017 .01
The Formation and Decline of the Public Sphere in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인문사회 21
2019 .01
한국 시민의 좌파 권위주의 성향과 우파 권위주의 성향 비교: 얼마나 강하고 어떻게 다른가?
한국정당학회보
2023 .03
투표와 촛불집회: 참여 요인 비교와 관계 분석
의정논총
2017 .01
2016~2017년 촛불집회의 두 가지 전선에 관한 연구
기억과 전망
2019 .01
Legitimacy as Resource: How Did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in South Korea Succeed?
한국조직학회보
2022 .07
Korea’s Candlelight Protests in Context : Evidence from the Asian Barometer Survey and Global Events Data
평화연구
2019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