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서론
I. 마끄리 정부의 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실현 논리
II. 라틴아메리카 지역 재생에너지 개발 관련 정책 변화 현황
III. 아르헨티나 마끄리 정부의 재생에너지 개발 정책
IV. 결론: 마끄리 정부의 재생에너지 개발 정책 한계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재생에너지 법정책의 현황과 개선과제
환경법연구
2017 .01
국가발전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모색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을 소재로 하여-
국가법연구
2019 .01
재생에너지정책과 지속가능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독일모델과 시사점
자원환경경제연구
2016 .01
동적 패널 모형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정책의 OECD 국가 재생에너지 보급 효과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2016 .01
재생에너지정책과 지속가능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독일모델과 시사점
자원·환경경제연구
2016 .01
Comparative Analysis of Japan and Korea’s Renewable Energy Politics: 2002-2016
사회과학연구
2018 .04
동적 패널 모형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정책의 OECD 국가 재생에너지 보급 효과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2016 .01
영국의 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한 정치적 과정 연구
유럽연구
2017 .09
U.S. Renewable Energy Policy in Context
환경법과 정책
2015 .09
재생에너지 입지정책 도입의 의미와 과제
환경법연구
2018 .01
신재생에너지 정책수용성과 정부 신뢰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23 .02
국제사회의 재생에너지 사업자금조달 현황과 시사점
[KIEP] 연구보고서
2015 .12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KIEP] 연구보고서
2022 .12
중국 재생에너지 정책담론 확산 연구: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연구
2017 .01
남북 재생에너지 협력을 위한 전략과 정책적 과제
환경법과 정책
2018 .09
Granger Causality 검정과 공적분 검정을 통한 OECD 국가 재생에너지정책 효과 분석
한국행정연구
2021 .09
Renewable Energy Programs as an Avenue for Inter-Korean Cooperation
아시아연구
2020 .08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환경정책
2019 .12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법·정책, 경제, 인식적 요인의 관점
한국정책연구
2019 .06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독일 에너지 정책
유럽연구
2015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