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민영 (성신여자대학교)
저널정보
국제언어문학회 국제언어문학 국제언어문학 제36호
발행연도
2017.4
수록면
5 - 35 (31page)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은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원작으로 한 영화의 각색과 영화적 변용 양상을 ‘원작의 재현’ ‘원작의 번안’ ‘원작의 전복’으로 나누어 살펴봤다.
2장 ‘원작의 재현’에서는 올리비에, 제피렐리, 그리고 브래너의 햄릿 영화를 논했다. 올리비에 감독의 <햄릿>(1948)은 햄릿 영화의 원조로서, 고뇌하는 인간으로서의 햄릿의 성격을 강조했다. 올리비에는 햄릿의 고뇌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 근거한다고 보았다. 제피렐리 감독의 <햄릿>(1990)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올리비에의 영화적 시각을 계승했지만, 햄릿의 성격은 사색가에서 행동가로 새롭게 해석했다. 셰익스피어의 원작을 가장 충실하게 각색한 영화는 브래너 감독의 <햄릿>(1997)이다. 브래너의 <햄릿>에는 원작이 내포하고 있는 정치적 의미가 그대로 담겨있으며, 그에 따라 셰익스피어 작품에 대한 심층적인 감상을 유도한다.
3장 ‘원작의 번안’에서는 앨머레이더와 펑 샤오강의 영화를 분석했다. 앨머레이더 감독의 <햄릿 2000>(2000)은 원작을 2000년 미국의 뉴욕시를 배경으로 번안했다. 앨머레이더는 원작에 동시대 청년들의 상처를 투영함으로써 “연극은 자연을 비추는 거울”이라는 셰익스피어의 문학적 견해를 적극적으로 실천했다. 중국의 영화감독 평 샤오강의 <야연(夜宴)>(2006)은 원작을 중국을 배경으로 중국어로 번안했다. 이 영화는 햄릿이 아닌 거트루드가 이야기를 이끌어 간다. 영화 <야연>의 의의는 지금까지 부당하게 평가되었던 한 여성의 내면에 주목하여 그 목소리에 귀 기울였다는 점이다. 『햄릿』의 번안 영화들은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넘어 보편적인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해준다.
4장 ‘원작의 전복’에서는 카우리스마키와 스토파드의 영화를 살펴봤다. 카우리스마키 감독의 <햄릿 장사를 떠나다>(1987)는 원작을 비틀고 냉소하는 블랙코미디다. 그는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현대 자본주의적인 관점에서 해석하여, 최후의 승자는 노동자여야 한다고 역설한다. 스토파드 감독의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는 원작의 이면이야기다. 이 영화는 원작과 연계됨과 동시에 그것을 해체하며, 『햄릿』이 담고 있는 삶과 죽음의 문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카우리스마키와 스토파드의 영화는 셰익스피어 원작의 영화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목차

국문초록
1. 시작하는 말
2. 원작의 재현
3. 원작의 번안
4. 원작의 전복
5. 맺는 말
ABSTRACT
참고문헌

참고문헌 (3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