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며 : 검은 사각형의 역설
Ⅱ. 실재(The Real) : 절대주의와 죽음충동
Ⅲ. 경계라는 평면 : 우상으로부터 이콘으로
Ⅳ. 말레비치의 4차원 : 평면의 깊이와 역동성
Ⅴ. 맺으며 : 형식이라는 유토피아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아방가르드와 말레비치의 건축적 통찰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6 .01
정신사적 관점에서 В. 칸딘스키(Кандинский)와 К. 말레비치(Малевич) 회화의 초월성
슬라브학보
2016 .09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피에트 몽 드리앙(Piet Mondrian), 카지미르 말레비치(Kazimir S. Malevich) 추상회화의 신지학적 배경과 기독교의 복음
신앙과 학문
2020 .01
러시아 이콘의 근대적 변천
슬라브학보
2023 .06
말레비치의 “Victory Over the Sun”이 현대 패션디자인에 미친 영향: Martin Margiela를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2016 .12
15~16세기 러시아의 ‘그리스도의 변모’ 이콘에 나타난 러시아성
복식문화연구
2024 .06
러시아 혁명과 중국공산당의 자기개조의 길 :反볼셰비키화를 넘어서
한중관계연구
2018 .01
현대 러시아의 대중의식을 통해 살펴본 ‘10월 혁명’ : 소연방 해체 이후 현재까지 여론 조사를 중심으로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8 .01
러시아 이콘(icon)과 한국 탱화(幀畵)의 도상과 의례의 특성
외국학연구
2016 .01
1910년대의 ‘혁명’ ㅡ 3·1운동 전야의 개념과 용법을 중심으로 ㅡ
개념과 소통
2015 .01
역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혁명’ 서사의 변화
인문논총
2018 .01
혁명과 상징주의, 그리고 블로크의 「열둘」
슬라브학보
2017 .09
세계사 속의 러시아혁명
한중관계연구
2018 .01
한국형 리버럴 아츠 컬리지와 리버럴 에듀케이션의 방향 -대구대학교 S-LAC의 특징과 미래 비전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18 .12
민족과 혁명: 1920년대 초 사회주의 수용에서 러시아혁명 인식의 문제
민족문학사연구
2021 .12
현대사의 기점으로서의 러시아 혁명
역사와현실
2020 .03
한나 아렌트와 프랑스혁명
역사와 담론
2016 .10
從認知語言學角度分析漢字
漢字漢文敎育
2016 .01
잡지 『신생활』의 문화 정치와 러시아혁명사
민족문화연구
2023 .02
러시아 성 게오르기(св. Георгий) 문장(紋章)과 이콘(икона)의 상관성
러시아학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