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지용의 일본어 시 창작과 조선어 인식
한국시학연구
2017 .05
「정지용의 일본어 시 창작과 조선어 인식」에 대한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 .05
해방기의 정지용 문학에 관한 고찰
인문학연구
2015 .01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 일본어교육의 통사적 연구
일어일문학
2023 .08
정지용 번역 연구(1) : 정지용 초기 시 번역의 특징 - 정지용의 타고르(R. Tagore)와 블레이크(W. Blake) 시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20 .10
정지용 일본어시의 ‘산책자’ 의식과 ‘유리창’ 이미지의 탄생 - 새로 발굴된 『자유시인』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5 .01
1960~70년대의 일본어교육 강화 정책의 배경 연구
인문학연구
2024 .09
윤동주와『정지용 시집』의 만남 -윤동주 연구・5
국제한인문학연구
2015 .08
이중언어 문학장과 혼종적 에크리튀르 ―한국 근대소설 속 ‘일본어’ 발화와 위계적 공간―
사이間SAI
2024 .05
日本語学習者の発音における自己モニター行動
일어일문학
2021 .05
해방기 정지용의 시와 산문에 나타난 문학의 정치성과 시적 실천의 문제
우리어문연구
2017 .01
정지용과 『自由詩人』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04
일본IT 분야 학생 진출을 위한 일본어학부 일본어알고리즘 교과운영 사례와 일본어전공 강화에 관한 연구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8 .04
정지용 『백록담』에서 본 전통 이미지에 대한 차용과 개조
한중인문학연구
2015 .01
[일본연구] 100호와 일본어교육학연구
일본연구
2024 .06
정지용 시에서 외국어의 수용과 조선어 활용 : 1920년대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17 .05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聞き取り能力に関する考察 - 文単位の調査から -
일본어학연구
2025 .03
정지용 시에 나타난 ‘감각을 통한 사유’ 연구— 『정지용 시집』(詩文學社, 1935)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8 .01
일본어학부 일본어웹프로그래밍 융합교과 운영을 통한 일본어전공 강화사례 연구
일어일문학
2017 .05
영조번역의 기법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2018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