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일본어 시 창작의 양상과 특징
Ⅲ. 일본어 창작시와 조선어 시의 비교 : 「海邊」, 「夜半」과 「琉璃窓」
Ⅳ. 일본어 창작시와 영문 번역시의 비교 : 「窓に霜る息」과 「Whispers of Heavenly Death」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지용의 일본어 시 창작과 조선어 인식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 .05
「정지용의 일본어 시 창작과 조선어 인식」에 대한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7 .05
정지용 번역 연구(1) : 정지용 초기 시 번역의 특징 - 정지용의 타고르(R. Tagore)와 블레이크(W. Blake) 시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20 .10
해방기의 정지용 문학에 관한 고찰
인문학연구
2015 .01
정지용의 미의식과 윤동주의 지각 - 정지용 시의 윤동주 시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2019 .01
해방기 정지용의 시와 산문에 나타난 문학의 정치성과 시적 실천의 문제
우리어문연구
2017 .01
정지용 시에 나타난 감각의 전환 연구 -청각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21 .04
정지용 문학에서의 ‘조선’이라는 기표의 의미 - ‘기행 산문’과 ‘고향 시편’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2019 .01
정지용 시에 나타난 충북방언 연구
이상리뷰
2023 .06
정지용의 비정형적 띄어쓰기 실험과 그 의미 - 이와노 호메이의 영향을 중심으로 -
이화어문논집
2021 .12
『鄭芝溶詩集』에 나타난 비애의식 연구
국제언어문학
2020 .04
정지용 번역 연구(2) : 번역과 창작 사이, 자기 변용적 창조 - 그리스 신화의 모티프 차용을 통한 시적 변용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21 .08
정지용 시에서 외국어의 수용과 조선어 활용 : 1920년대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17 .05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 일본어교육의 통사적 연구
일어일문학
2023 .08
순수의 곤경과 ‘윤리’의 기원 - 정지용 초기 일문시 연구
어문론총
2019 .01
정지용 시의 육체성 연구 - ‘나비’와 ‘말’ 이미지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21 .12
정지용 시의 디아스포라 의식과 ‘조선적인 것’의 의미
비교한국학
2023 .04
해방기 시어의 일면 : 정지용과 조지훈 시의 경우
한국시학연구
2015 .04
윤동주와『정지용 시집』의 만남 -윤동주 연구・5
국제한인문학연구
2015 .08
정지용과 『自由詩人』
한국근대문학연구
2015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