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서론
2. 1607년 사행의 의의와 여정의 특수성
3. 기항지의 관광학적 요소
4. 문화관광으로서의 항해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을 활용한 역사문화콘텐츠 원형복원 사례연구
항도부산
2021 .08
1643년 조선통신사 해로 여정 고찰
우리문학연구
2017 .10
조선후기 일본지식 생성자로서의 통신사 역관 연구
한국문학논총
2018 .01
조선후기 통신사행록 속에 나타난 전쟁의 상흔, 그리고 부산
한국문학논총
2020 .01
조선통신사와 출판물 : 통신사 자료 연구와 출판 미디어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조선통신사축제의 활성화 방안 연구 - 학문 연계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문화
2023 .03
17~18세기 초 통신사 필담 속 衣冠 관련 기록의 양상
한국민족문화
2020 .11
통신사(通信使)의 전통에서 본 수신사(修信使) 기록의 특성-제1차 수신사 기록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2017 .01
조선 후기 조·일 교류에서의 문(文)·무(武) 대응 연구
인문과학연구
2022 .12
한일 지방도시 간의 역사실천(歷史実踐)과 시민공공권(市民公共圈)의 가능성-조선통신사 관련문화사업을 사례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0 .01
1763~1764년 조선통신사의 해로여정 고찰 -계미사행록에 나타난 해난사고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2020 .01
조선통신사 정사기선에 관한 연구
해양문화재
2018 .01
조선 국왕 宣祖의 일본인식
한일관계사연구
2023 .02
조선후기 通信使의 일본 출판 및 서적 유통 탐색- 비왜적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2019 .01
谷口園 鄭象觀의 『史記』 애호와 그 의의 -「讀馬史」 및 南漢朝와의 왕복 서한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24 .08
조선통신사선의 항해기록과 항해술
해양문화재
2018 .01
1811년 신미통신사 빈례(賓禮) 관련 회화 연구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5 .03
조선통신사를 통해 본 조선 후기 한일 의학교류의 변화 양상: 통·번역 관점에서 본 의사문답(醫事問答)을 중심으로
통역과 번역
2024 .08
화이(華夷)와 무위(武威) — ‘평화’ 지속의 어려움에 대하여 —
개념과 소통
2016 .01
朝鮮通信使와 對馬島의 關係
日本語敎育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