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머리말
2. 조선전기 통신사행의 실태
3. 조선의 통신사 외교와 사행의 중단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세 후기 명목금 대부와 에도 막부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1 .01
인조대의 국정운영과 1636년의 통신사 외교
한일관계사연구
2017 .04
무진년 통신사행 절목 중구관백전(舊關白前) 예단 및 배례 강정에 관한 고찰
열상고전연구
2019 .01
16세기 후반 조일관계와 대일사행의 파견
한일관계사연구
2020 .05
『헤이케모노가타리』에 나타난 정치에 대한 고찰 : 혈연관계에서 나타나는 권력자간의 갈등을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18 .10
근세 일본 에도 막부의 쌀 매입과 지역 영주 : 권력의 쌀 매입은 어떻게 구제로 작용하고 있었는가
역사와경계
2023 .12
무진년 조선통신사 『延享信使記錄』과 「信使集書」
한일관계사연구
2022 .08
오후레가키(御觸書)를 통해 본 일본의 通信使 접대
서강인문논총
2015 .12
에도막부의 諸國巡見使 파견과 쓰시마번의 대응
동양사학연구
2016 .03
李商隐梓州幕府时期诗研究
한국중어중문학 우수논문집
2017 .11
일본 廣島縣 향토사료에 반영된 조선후기 통신사와 福山藩 文士의 문화교류 연구
한국민족문화
2019 .05
조선통신사와 출판물 : 통신사 자료 연구와 출판 미디어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조선시대 통신사 사행록에 반영된 上關
동양한문학연구
2015 .10
중세 일본의 외교권
대동문화연구
2021 .01
1811년 신미통신사 빈례(賓禮) 관련 회화 연구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5 .03
조선 역관의 ‘書契僞造’ 사건과 1811년 通信使
한국민족문화
2016 .08
장미장군 외 1편
문학들
2022 .11
개국 시기 막부의 서양군사도입과정 : 長崎 `海軍` 傳習 재검토를 중심으로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01
一八世紀初期における華夷秩序と日本外交の変容 : 通商と将軍国王化の変容を中心に
일본문화학보
2015 .05
19세기 초 일본정치사 속의 조정-막부 관계 ― 1827년의 막부 사자 파견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