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저자의 문제의식과 책의 구성
Ⅱ. 고구려사 연구의 기초 자료에 대한 분석적 접근
Ⅲ. 고구려사의 인식 태도와 이미지 생산에 대한 비판적 검토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고대사 연구의 현재와 그 반성 : 과연 역사는 만들어지는 것인가? (권덕영, 《한국의 역사만들기 : 그 허상과 실상》(2015.12, 새문사)
신라사학보
2016 .08
2007년 이후 중국의 고구려 종교 · 사상사 연구 동향
고구려발해연구
2017 .03
고구려 전기의 지배세력 재편과 관등제
한국고대사연구
2020 .09
중학교 역사 교사의 사료 활용 양상에 나타난 특징과 문제점 분석
역사교육
2021 .06
Turkic Northern Tribes and Koguryo in the Early 650s: Reflection on the Circumstances of Koguryo Envoys in the Afrasiab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0 .12
고구려사·발해사의 논쟁점을 다시 검토하다 - 노태돈, 『고구려 발해사 연구』(지식산업사, 2020) -
고구려발해연구
2021 .03
세계사 교과서 현대사 단원의 학생 활동 분석
역사교육
2020 .06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의 조사 현황과 활용 방안
동북아역사논총
2024 .06
唐代 신라와 고구려인의 越境, 그리고 소설 속 그들의 형상
중국소설논총
2017 .08
从高句丽·百济人墓志看高句丽末期的对外关系
동양학
2015 .01
청일전쟁에 대한 엇갈린 시선 - 동아시아 각국 고등학교 단계의 역사 교과서 서술 비교 -
역사교육
2025 .03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디지털 고구려박물관 전시
역사문화연구
2023 .05
한반도 중부지역 고구려 석실분의 고고학적 함의
한국상고사학보
2023 .05
고구려 고분과 몸의 유교화 다시 보기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3 .12
역사의 다양성을 위한 제언-권덕영, 2015 『한국의 역사 만들기-그 허상과 실상』, 새문사-
인문학연구
2016 .01
동북공정 종료 후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동향과 전망
동북아역사논총
2016 .09
만주와 남 · 북한을 넘나든 고구려 성의 탐색 : 『高句麗 城 硏究』(양시은 저, 진인진, 2016)
고구려발해연구
2017 .03
고구려와 중국왕조의 만주지역에 대한 공간인식
한국고대사연구
2017 .12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세계관과 생사관
역사학보
2018 .12
고구려사와 만선사(滿鮮史)
동서인문학
201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