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들어가며
Ⅰ. 만선사란?
Ⅱ. 시라토리 구라키치와 만선사
Ⅲ. 이나바 군잔과 만선사
Ⅳ. 만주군과 이나바 군잔의 만한 경영
Ⅴ. 시라토리 구라키치, 고토 신페이와 만철 역사조사부
Ⅵ. 역사조사부의 조선총독부 평양 설치안
Ⅶ. 이나바의 ‘만선 불가분론’과 단군 신화
소결론 - 만선사 상의 고구려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박물관 전시를 통해 본 중국의 고구려사 인식
동북아역사포커스
2022 .09
2007년 이후 중국의 고구려 종교 · 사상사 연구 동향
고구려발해연구
2017 .03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의 조사 현황과 활용 방안
동북아역사논총
2024 .06
한반도 중부지역 고구려 석실분의 고고학적 함의
한국상고사학보
2023 .05
고구려의 경제 지리 - 농업·광업·목축·소금 생산의 지리적 분포를 중심으로
영토해양연구
2024 .12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디지털 고구려박물관 전시
역사문화연구
2023 .05
2000년대 이후 한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
고구려발해연구
2024 .07
동북공정 종료 후 중국의 고구려사 연구동향과 전망
동북아역사논총
2016 .09
박물관 전시를 통해 본 중국의 동북공정식 고구려사 인식
고구려발해연구
2021 .11
공석구, 고구려사 연구를 되돌아 보면서
고구려발해연구
2022 .03
고구려연구재단과 동북아역사재단의 남·북 역사문화 교류와 성과
동북아역사논총
2023 .06
고구려 전기의 지배세력 재편과 관등제
한국고대사연구
2020 .09
고구려사 연구의 시작과 끝에 대한 탐색 : 정호섭, 『고구려사와 역사인식』(새문사, 2016)
한국고대사연구
2017 .03
唐代 신라와 고구려인의 越境, 그리고 소설 속 그들의 형상
중국소설논총
2017 .08
고구려사·발해사의 논쟁점을 다시 검토하다 - 노태돈, 『고구려 발해사 연구』(지식산업사, 2020) -
고구려발해연구
2021 .03
고구려 後期 天下觀念의 변화상과 그 의미
백산학보
2015 .01
북한의 고구려 고고학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0 .01
Turkic Northern Tribes and Koguryo in the Early 650s: Reflection on the Circumstances of Koguryo Envoys in the Afrasiab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0 .12
초기 고구려의 주도세력과 현도군
한국고대사연구
2015 .03
한중 역사 갈등의 현황과 과제 - 동북공정을 넘어 미래로
동북아역사논총
202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