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매산별곡>에 나타난 강호(江湖) 인식 양상
Ⅲ. 강호가사 전통과 <매산별곡>의 의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梅山 洪直弼의 儒道 존숭과 警世의 시문 창작에 관한 고찰
漢文古典硏究
2015 .01
농암(聾巖)의 경천(敬天)사상 ― 聖俗間 거리두기를 위한 자연의 재발견 ―
동양철학연구
2022 .02
주희의 산수시와 강호가도(江湖歌道)의 미의식
연민학지
2019 .01
자료집 『계문』과 새로운 가사 작품 4편에 대하여
고전문학연구
2015 .01
순천지역 교육선교와 매산학교 - 선교부와 지역교회의 교제를 중심으로 -
남도문화연구
2017 .12
매산 김양선의 학문적 업적과 한국기독교사 인식에 관한 재고찰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25 .01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경험 세계의 교육적 구도와 지평
시조학논총
2018 .07
敬菴 盧景任의 「月幕山水記」와 그 장소성
동방한문학
2022 .06
성리학의 시적 실천 : 三淵 金昌翕의 〈葛驛雜詠〉 연구
인문과학연구
2017 .12
정훈과 김득연의 강호가사에 나타난 四季의 形象과 흥취 표출
한국사상과 문화
2016 .01
매산(梅山) 정중기(鄭重器)의 생애와 시세계
포은학연구
2015 .01
매산 홍직필의 外史氏 역할과 인물 군상의 기록 — 傳狀과 碑誌를 중심으로 —
漢文古典硏究
2017 .01
원본에 가까운 또 하나의 〈거창가〉 선본(善本) : 멱남본 〈娥林別曲〉에 대하여
한국문학과 예술
2016 .03
낙론계 성리학자들의 ‘리약기강(理弱氣强)’ 명제 인식 - 18세기 이후 한국성리학계의 ‘이기일원화(理氣一元化)’ 경향성과 관련하여
율곡학연구
2021 .01
Man and Nature
인간연구
2017 .01
심종문 湘西 문학세계가 지닌 생태여성주의의 가능성
중국문화연구
2016 .11
‘臨河九曲’의 발견과 그 江湖歌道 연구
동방한문학
2015 .01
충북 단양지역 기행가사 연구
호서문화논총
2016 .02
梅山 洪直弼의 시문학 一考
漢文古典硏究
2017 .01
[대표작 연시조] 황진이 별곡 외 2편
시조시학
2016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