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신두환 (안동대학교)
저널정보
연민학회 연민학지 연민학지 제31권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223 - 270 (4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은 주희(朱熹, 1130-1200)의 산수시(山水詩)에 나타난 강호가도의 미의식을 연구한 논문이다. 중국에서는 주희를 평가하면서 성리학을 집대성한 철학자, 교육가, 사상가로 존중하는 반면 문학가로 조명하는 데는 소홀하였다. 그러나 그는 2000여수의 시를 남긴 위대한 시인이자 시경과 초사의 주석을 달았던 비평가였다. 특히 그의 산수시는 조선 산수문학의 전범이었으며, 중국문학사에 길이 빛날 위대한 작품들이다. 주희의 산수시에는 강호가도(江湖歌道)의 미의식이 들어 있다. 강호가도는 자연에 몰입하여 살면서 유교적 관념을 노래하는 일련의 작품을 뜻하는 비평용어이다. 주희의 성리학은 문학을 저해한 것이 아니라 발전시켰다. 주희는 자연에 몰입하여 시가를 창작하며 도학을 펼쳤다. 주희는 중국의 여산(廬山)과 무이산(武夷山)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예술철학을 바탕으로 새로운 자연미를 발견해 가고 있었다. 주희의 산수 시들은 단순한 인간의 감성을 표현한 문예작품이 아니라 도문일치(道文一致)의 문학론을 근본으로 삼는 것이었다. 주희는 산수 간에 처하여 시 창작을 통해 유교적인 이상을 추구하려 하였다. 주희의 시는 도문일치의 사상이 주를 이룬다. 도학과 문학은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다. 그의 산수 시가에는 강호가도의 미의식이 함의되어 있었다. 주희의 산수시가에는 유가경전의 시취가 어우러져 더욱 깊은 미감을 자아낸다. 주희의 강호가도의 일상에는 단표누항(簞瓢陋巷)의 미의식이 작용하고 있다. 주희의 산수시에 나타나는 강호가도는 ‘웅장호려(雄壯豪麗)’, ‘청신준일(淸新俊逸)’, ‘유한고원(幽閒高遠)’, ‘충담감개(沖淡感慨)’ ‘충담소산(冲澹蕭散)’ ‘한미청적(閒美淸適)’ ‘청신쇄락(淸新灑落)’ ‘용의정심(用意精深)’ ‘정심의원(情深意遠)’ ‘격사청건(格詞淸健)’ ‘정공묘려(精工妙麗)’의 미학이 함의되어 있다. 주희의 산수시에는 성리학적 시어들이 앙금처럼 녹아서 오묘(奧妙)하고 영롱하게 그 빛을 발산하고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