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지원 (가천대학교)
저널정보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와인지 담화와인지 제23권 제4호
발행연도
2016.11
수록면
87 - 110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analyzes lengthened reactive tokens occurring in Chinese conversations between native speakers and speakers whose native language is Korean. This study uses both qualitative methods based in conversation analysis and corpus-based quantitative methods to show that lengthened reactive tokens function as a means of displaying the speaker’s stance toward his/her interlocutor. In this case, the Korean speaker uses lengthened reactive tokens to mark what the Chinese native speaker had just said as highly significant or noteworthy. In this way, the Korean speaker constructs his/her identity as a non-native speaker. Both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orient toward each other’s identities as they emerge in an interaction, and each uses the other party’s identity to determine future conversational ac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hinese native speaker and the Korean speaker collaborate on creating and managing their identities within conversational interaction.

목차

1. 연구목적 및 기존연구
2.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3. 장음화 유형과 특징
4. 한국인 중국어 화자의 장음화 행위
5.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701-001906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