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2년간의 한국 근현대사 연구 환경
II. 내재적 발전론의 ‘건재’
III. 식민지근대성론의 확산
IV.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의 도입
V. 개념사, 담론 분석, 구술사
VI. 뉴라이트 역사인식의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식민사관 비판론의 등장과 내재적 발전론의 형성
사학연구
2017 .03
주체 사관에서 인민과 민족의 자리
역사비평
2022 .08
[이론 · 사상사] 변화의 도전과 서양사학의 응전: 2017~2018 서양 역사이론과 사학사 연구동향
역사학보
2019 .09
[총설] 한국 근현대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들 - 가능성과 문제점
역사학보
2018 .09
로마의 “역사(historia)” 활용 방식에 대하여
역사교육
2019 .03
언제나 마무리되는 이야기, 끝나지 않는 역사: Ever After
현대영미소설
2015 .01
실증사학의 ‘이념’ — 식민지 조선에 온 역사주의
인문논총
2019 .01
‘발전’을 문제 삼기 ―‘발전사(History of Development)’ 연구의 전개와 동향
역사비평
2021 .02
Two Memories, Two Historiographie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9 .06
한국의 근대성 연구와 "근대주의"
사회와 철학
2016 .04
[총설] 전환 시대에 ‘정체성’ 다지기: 2019~2020년 서양사 연구 동향
역사학보
2021 .09
세계화의 현실과 ‘트랜스내셔널 역사학’의 의미 : 독일 역사학계 논의를 중심으로
경주사학
2015 .12
김기봉, 역사학 너머의 역사. 빅히스토리, 문명의 길을 묻다 (문학과지성사, 2022), 328pp.
서양사론
2023 .06
『임나흥망사』를 통해 본 스에마츠 야스카즈의 역사관
역사비평
2020 .0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일제 식민지 지배’기 여성 관련 서술 분석
역사교육
2021 .03
[총설] 한국사 연구의 신경향과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언
역사학보
2021 .09
20세기 한국고대사의 반성 - ‘위대한 고대사’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연구
2024 .06
글로벌 히스토리와 동아시아론 ― 일본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16 .01
국사를 넘어선 역사교육
대구사학
2016 .01
근대로의 이행과 역사 비교 방법
역사학보
2020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