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Ⅰ. 시작하며
Ⅱ. 글로벌 불평등의 확산과 구조화
Ⅲ. ‘황금기’에 대한 추억
Ⅳ. 변화
Ⅴ. ‘임금주도성장론’의 내용과 한계
Ⅵ.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기본소득
Ⅶ.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복지국가와 소득 불평등의 관계에 관한 비판적 고찰
사회복지연구
2019 .01
한국의 소득불평등에 관한 새로운 접근
산업노동연구
2018 .01
이 시대 ‘복지국가’의 쓸모?! :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04
불평등의 심리적 영향에 관한 경험 연구 개관: 경제적 불평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18 .01
소득불평등에 대한 기회불평등의 기여도 분석: 2000년대 한국경제를 중심으로
질서경제저널
2016 .01
기본소득, 복지국가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 기초연금, 사회수당, 그리고 기본소득
비판사회정책
2017 .02
지역 불평등과 사회적 자본의 분포특성 및 상관관계 분석 - 서울시 권역생활권 및 자치구를 중심으로 -
서울도시연구
2020 .12
무엇이 한국인을 불행하게 만드는가? : 소득불평등, 기회불평등, 그리고 행복의 균열구조
OUGHTOPIA
2016 .05
경제적 불평등 인식 추이 및 원인 분석, 2016~2020
한국사회학
2023 .08
현금 기본소득과 현물 공적서비스의 불평등 완화 효과 비교 연구
사회과학연구
2017 .06
복지레짐의 국제비교분석: 평등과 효율성의 양립가능성을 중심으로
EU학연구
2017 .01
소득 불평등 인식의 국제비교 : 미국, 영국, 독일, 스웨덴의 비교
국제지역연구
2016 .07
Inequality in Rural India : Between or Within Group?
남아시아연구
2017 .10
The Rise of Multiple Inequalities: Focusing on Interactions between the Political and Economic Spheres
Korea and the World Economy
2019 .08
경제적 불평등은 어떻게 개인의 복지선호로 이어지는가? 한국인의 복지선호형성의 세부단계에 대한 유형화
현대정치연구
2018 .12
긴급재난지원금은 기본소득의 마중물인가? : 기본소득(론)의 과거, 현재, 미래
마르크스주의 연구
2020 .08
경제적 불평등 인식에 대한 경험적 연구 : 한국 사례와 함의
한국인구학
2018 .12
대학생의 경제적 불평등, 교육 불평등, 미래 불평등 간의 관계
인문사회 21
2022 .02
지속가능한 복지와 기본소득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2 .06
한국의 소득 및 자산의 불평등: 현황과 과제
정부학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