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조선시기 문인의 소설관
3. 문인 잡록에 나타나는 중국소설비평
4. 나오는 글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唐宋史料筆記에 보이는 ⾼句麗 관련 기록 연구
백산학보
2024 .08
『임진기록壬辰記錄』을 통해 본 정탁鄭琢의 임진전쟁 기억과 전쟁기록
국학연구
2023 .07
李睟光(1563~1628)과 鄭經世(1563~1633)의 道文論과 사상적 차이
한국한문학연구
2021 .09
沈守慶의 『遣閑雜錄』에 나타난 자기서사적 양상
고전과 해석
2019 .01
“聲訓”說的歷史反思
동아인문학
2018 .06
三言小說 속 詩 硏究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4
같지만 다른 王昭君 이야기?馬致遠의 《漢宮秋》와 尤?의 《弔琵琶》를 중심으로
중국문학
2020 .01
『欽欽新書』와 법의 서술 — 『欽欽新書・批詳雋抄』의 중국 판례를 중심으로 —
사림
2019 .01
跨越1997:作为身份与想象的载体 ―≪树大招风≫ 的解构与外延―
중국어문학
2024 .08
定齋 柳致明의 『關西遊錄』에 나타난 현실인식 ?‘犯越’과 ‘田制’를 중심으로?
온지논총
2020 .01
현대중국어 ‘說’류 동사 연구
중국어문논역총간
2016 .01
「설공찬전」 탄생의 문학적 지반과 필화사건의 배경에 대하여
동남어문논집
2017 .01
北京學의 시각에서 본 조선 후기 燕行錄 Ⅰ-筆記雜錄의 시기별 고찰을 중심으로-
민족문화
2023 .07
童蒙須知의 庭訓的 성격과 조선조의 수용
동방한문학
2019 .01
唐五代 文人詞의 戲劇性에 대한 고찰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11
『문화수려집(文華秀麗集)』에 보이는 발해사절시
일본어문학
2016 .01
箕子傳承의 형성과정 연구
한국사학보
2016 .11
≪人間詞話≫ 내 이론비평과 실제비평의 상관성 검토 - 비평대상⋅비평기준⋅비평기준 적용양상의 일관성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총
2015 .02
唐代 文人 네트워크 硏究 — 『太平廣記』 문인여행 故事를 중심으로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 .04
비
수필미학
2023 .12
0